[단독] 권역응급센터 70% ‘나홀로 당직’인데…윤 “비상체계 원활”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단독] 권역응급센터 70% ‘나홀로 당직’인데…윤 “비상체계 원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4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1%
  • Publisher: 53%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의료공백 위기에 대해 “비상(진료)체계가 원활하게 가동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권역응급의료센터 10곳 가운데 7곳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12명 미만으로, 원활한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대·건양대병원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4명만이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의료공백 위기에 대해 “비상체계가 원활하게 가동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권역응급의료센터 10곳 가운데 7곳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12명 미만으로, 원활한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대·건양대병원은 응급의학과 전문의 4명만이 버티고 있었다.

하지만 의료 현장은 윤 대통령이 언급한 상황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날 한겨레가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보건복지부의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응급실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 21일 기준 전국 44개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31곳은 근무 중인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12명 미만이었다. 건양대·울산대병원은 4명, 순천향대천안병원과 삼성창원병원은 5명에 불과했다.권역응급의료센터는 응급의료 권역 내 최중증 환자가 모이는 곳으로 상급종합병원이나 300병상 초과 종합병원에만 지정한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365일 24시간 응급실 운영 때 매 근무에 2명 이상을 두려면 응급실에 최소 12명의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응급실 ‘인력난’이 의료개혁 과정서 빚어진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방 종합병원이나 공공병원을 가 보면 응급실 응급의학과 의사가 거의 없다. 의료 개혁 때문에 그런 게 아니라 원래부터 그랬다”고 말했다. 하지만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7월15일보다 12명 줄었고, 7명이 더 사직서를 냈다. 현장에선 전공의 이탈에 따른 피로 누적 등으로 있던 전문의마저 떠나는 상황이라고 설명한다.충북에서 가장 중증도 높은 응급환자를 처치하는 충북대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에는 21일 현재 6명의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주 7일, 24시간 동안 돌아가며 당직을 서고 있다. 전공의 이탈 이전인 지난해 연말에는 전문의 7명, 레지던트 9명, 인턴 6명 등 22명이 근무했지만, 8개월 새 일손이 4분의 1로 줄었다. 전공의 몫을 메우던 전문의들도 지치면서 9월1일부터는 전문의 1명이 추가로 휴직할 예정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남궁인 '권역응급센터 당직 의사 나 혼자…의료체계 '시한폭탄''남궁인 '권역응급센터 당직 의사 나 혼자…의료체계 '시한폭탄''(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나는 권역응급센터에서 혼자 근무한다. 여기는 하루 육십 명 정도를 진료하는 서울 한복판의 권역센터다. 그리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상진료 원활', '채상병 외압 없어', '뉴라이트 몰라'...여론과 동떨어진 윤 대통령'비상진료 원활', '채상병 외압 없어', '뉴라이트 몰라'...여론과 동떨어진 윤 대통령'김 여사 출장 조사' 논란에 '저도 검사 시절 전직 대통령 부인 자택 찾아가 조사'...제2부속실은 '장소 마땅한 곳 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증환자, 권역응급센터 가면 본인부담 늘리기로…실효성엔 의문경증환자, 권역응급센터 가면 본인부담 늘리기로…실효성엔 의문의료 공백 장기화로 응급실 의료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자, 정부가 경증환자의 분산을 위해 최상위 응급실인 권역응급의료센터 이용 시 본인 부담을 올리는 등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의료 현장에선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2일 의사 집단행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석연휴 당직병원 확대·진찰료 인상 …'응급실 대란' 막는다추석연휴 당직병원 확대·진찰료 인상 …'응급실 대란' 막는다정부 비상응급 대응주간 지정당직 병·의원 4000곳 운영軍·공공의료 비상체계 가동응급진찰료 가산도 확대'응급환자 분산에 초점'고려·중앙·이대병원 등7개병원 임단협 극적 타결보건노조 파업동력 약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8층 높이서 에어매트 가장자리에 떨어지자 ‘70도 들썩’[단독] 8층 높이서 에어매트 가장자리에 떨어지자 ‘70도 들썩’“처음엔 에어매트가 뒤집혔다고 해서 이해가 잘 안 됐는데, 실제로 실험해보고 깜짝 놀랐어요.” 7명이 숨진 경기 부천 호텔 화재 다음날인 23일. 서울의 한 소방서는 공기안전매트(에어매트)를 소방서 뒷 마당에 설치해, 8층 높이에서 성인 여성 몸무게에 맞춘 훈련용 마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윤 정부 개방' 청와대재단 업체 임금체불, 노동청 근로감독[단독] '윤 정부 개방' 청와대재단 업체 임금체불, 노동청 근로감독윤석열 정부가 개방한 청와대에서 각종 수당에 대한 임금체불이 발생해 노동청이 근로 감독을 실시, '시정 지시 조치'까지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은 지난 7월 23일 청와대재단(이사장 윤병세)으로부터 시설관리 업무 등을 수주한 A 회사에 대해 근로 감독을 진행해 '(재직·퇴직자를 대상으로) 연차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01: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