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연락두절 사각지대 1440명…주민등록-실거주지 불일치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단독] 연락두절 사각지대 1440명…주민등록-실거주지 불일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달라 사각지대에 처했을 위험성이 큰 복지 위기 인원이 14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종 고지서가 쌓여있는 다가구주택의 우편함. 연합뉴스 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달라 사각지대에 처했을 위험성이 큰 복지 위기 인원이 14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해 ‘수원 세 모녀’처럼 복지 사각지대 시스템에서만 발견되고 실제 복지 지원은 받지 못한 사례일 수 있다고 보고 추가 소재 파악에 나섰다. 보건복지부가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복지 사각지대 개선 대책 실적 자료를 24일 보면, 주민등록지와 실거주지가 일치하지 않은 연락 두절자는 6월 말 기준 전국에 1440명이다. 연락 두절자란 정부가 2개월마다 위기정보를 분석해 선정한 복지 위기 가구 대상자 중 현장조사 때 연락이 되지 않고 빈집, 장기출타 등으로 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불일치할 가능성이 큰 위기 가구다. 지난해 8월 한 다세대주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수원 세 모녀’도 연락 두절자에 해당했다.

행안부는 지난해 10∼12월 주민등록 사실 조사를 하면서 이들의 실거주 여부를 확인했고, 그 결과 4643명의 주민등록지와 실거주지가 불일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올해 3∼6월 각 지자체에서 재조사를 진행해보니, 소재지가 파악된 3203명을 제외한 1440명은 여전히 주민등록지와 실거주지가 불일치하면서 연락 두절 상태였다. 복지부는 다음달부턴 휴대전화 번호를 활용해 1440명의 추가 소재 파악에 나선다. 위기 가구 소재 파악에 필요한 이동전화번호를 통신사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한 ‘사회보장급여법’과 시행령이 이달 29일부터 시행되면 해당 정보 수집이 가능해진다. 연락 두절자는 반드시 주변 탐문 등 현장 방문을 통한 재조사를 하도록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매뉴얼’도 올해 개정됐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연락 두절자에 대해선 별도 규정이 없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자립준비청년 20%는 '연락두절'…'복지 사각지대 우려'자립준비청년 20%는 '연락두절'…'복지 사각지대 우려'자립준비청년의 자립을 지원하는 아름다운재단의 '열여덟 어른' 캠페인. 〈사진=아름다운재단 홈페이지 캡처〉 '월 40만원인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도 앞바다서 실종된 잠수사들, 2㎞ 표류하다 구조진도 앞바다서 실종된 잠수사들, 2㎞ 표류하다 구조수중촬영하고 나오던 6명 중 2명 너울에 밀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직장인 70% “임금체불 원인은 사업주 솜방망이 처벌 때문”직장인 70% “임금체불 원인은 사업주 솜방망이 처벌 때문”직장인 10명 중 4명 이상이 임금체불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체불 원인에 대해선 10명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송파 일가족 사망' 숨진 아내, 억대 사기 혐의 피소...경찰 조사 앞두고 숨져'송파 일가족 사망' 숨진 아내, 억대 사기 혐의 피소...경찰 조사 앞두고 숨져송파 일가족 5명 사망 사건과 관련해 숨진 40대 아내 A 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21:0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