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회의장의 활동 반경은 대체로 원내에 머물렀다. 국회 운영을 책임진 입법부 수장이고, 의회주의 국가에서 입법부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것만큼 중요한 게 없을 테니 그게 당연...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 토목공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전두환 퇴진운동으로 옥고를 치렀다. 김근태 전 의원이 주도한 민주평화국민연대 소속으로 정치에 발을 들였고, 2004년 17대 총선부터 지난 22대 총선까지 서울 노원을에서 5선을 했다.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수석사무부총장·최고위원·원내대표를 거쳤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각종 사회경제적 현안에서 ‘을’들의 입장을 대변했다. 지난 5월16일 22대 총선 민주당 당선자 총회에서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됐다.
하지만 사회적 대화를 중시하는 우 의장의 정치관과 달리 윤석열 대통령과 민주당의 적대에서 비롯된 여야 대치는 역대 최악이다. 야당의 법안 단독 처리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일상이 됐고, 급기야 윤 대통령은 국회 개원식마저 불참했다. 우 의장은 “결국 민심이 해결할 거라고 본다”며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것들에 민심이 어떻게 반응하느냐, 그 민심에 여당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달린 문제 아니겠느냐”고 했다. ‘국회의장으로서 개혁과 협치 중 어느 것을 중시하느냐’는 물음에는 “국회의장은 여의 편도, 야의 편도 아니지만 국민의 편에 확실히 서야 한다”며 “개혁하려고 협치하는 거지 후퇴하려고 협치하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요즘 세상 걱정 많이 했죠. 문 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에 굉장히 공을 많이 들였는데 지금 꽉 막혀 있잖아요. ‘쉽지 않지만 국회가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하더군요. 또 민주주의 여러 과제들이 어려운 상황과 관련해서 국회가 중심을 잡아달라 하고, 특히 의·정 갈등을 두고 국회의장이 경험 많은 사람이니까 중심을 잘 잡아달라고 하더군요. 내가 문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해 ‘검찰이 지금 저렇게 수사하는 것에 대해 국민들 걱정이 참 크다’고 했는데, 문 전 대통령은 거기에 대해선 별다른 얘기를 하지 않았어요.”“의료수가 문제, 지방의료·공공의료 부족 문제가 쌓여왔는데, 정부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점진적 방식으로 풀지 않고 갑자기 의대 정원을 확 늘리면서 폭발한 측면이 있어요. 그러나 지금은 책임 소재를 따지는 것보다 해법을 찾는 게 중요해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찬대 “민심이 성나면 배를 뒤집는다”…여·야·의·정 비상협의체 등 제안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4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민안전과 민생경제, 민주주의, 한반도평화, 헌정질서 등 다섯 가지 위기를 거론하며 “민심이 성나면 배(정권)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마이포토2024] '할 것 안 하고 안 할 것 하는 청개구리 연금 개악'공적연금강화국민행동 기자회견 "정부 개혁안, 노후 파탄 내고 사회 분열 시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도직입] 진성준 '이재명 '금투세 완화 주장' 이해는 해....토론하면 오해 풀릴 것'■ 저작권은 JTBC 뉴스에 있습니다. 인용보도 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방송 : 오대영 라이브 / 진행 : 오대영 / 방송일 : 2024년 8월 13일 (화)※ 아래 텍스트는 실제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도직입] 이주영 '가을부터 호흡기 질환 창궐, 응급실 찾는 빈도 높아져...올겨울 희생 많을 것'■ 저작권은 JTBC 뉴스에 있습니다. 인용보도 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방송 : 오대영 라이브 / 진행 : 오대영 / 방송일 : 2024년 9월 9일 (월)※ 아래 텍스트는 실제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 뻔한데... 해결 못 하는 이유[소셜 코리아] 자본 압력에 굴복해 변죽만 울려... 해결책은 평화체계 구축, 재벌 견제, 국민연금 활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의 공허한 ‘국정 자찬’…개원식 불참도 ‘국회 탓’윤석열 대통령이 제22대 국회 개원식에 불참했다. 대통령의 국회 개원식 불참은 1987년 민주화 이후 처음이다. 대통령실은 “국회 정상화가 먼저”라고 했다. 불참 이유를 야당과 국회에 돌린 것이다. 야권은 윤 대통령의 개원식 불참을 비판하며 국정기조 전환을 한목소리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