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겪어봐야 아는 진실이 있다. ‘보수’가 딴 건 몰라도 경제랑 안보만큼은 잘한다는 말을 들어왔다. 이윤과 효율이 우선인 경제는 아무래도...
실제 겪어봐야 아는 진실이 있다. ‘보수’가 딴 건 몰라도 경제랑 안보만큼은 잘한다는 말을 들어왔다. 이윤과 효율이 우선인 경제는 아무래도 ‘보수’가 더 잘할 것이라고 믿어왔다. 이번 계엄령 사태에 장점이 있다면 이런 근거 없는 생각을 사정없이 내리쳤다는 점이다. 보수적 경제지인 ‘포브스’는 계엄의 대가는 한국인 5100만명이 장기적으로 갚아야 할 할부금이라고 평했다.
미래의 성장동력을 말아먹는 전조는 연구·개발 예산 삭감 때부터 확실했다. 과학기술계 예산 삭감에 쓰레기 덕후인 나조차 영향을 받았다. 이게 뭔 소리냐면, 유럽연합은 마구 쓰고 버린 후 재활용만 깔짝대는 지금의 대응으로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였다. 그 결과 두 가지 근본적인 정책을 도입한다. 하나는 물건 생산 시 자원과 에너지 투입량을 줄이고, 사용 시 최대한 오래 쓰고, 폐기 시 재사용 혹은 재활용되게 하는 에코디자인 규정이다. 즉 요람에서 무덤까지 물건의 생애 전반에 걸쳐 환경 영향을 줄이도록 한다. 다른 하나는 포장 폐기물 규정으로 재사용과 리필을 의무화하고, 불필요한 포장과 일회용품을 금지한다. 이처럼 EU는 물건과 포장재 쌍방향에 걸쳐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제도를 구축했다. 앞으로 EU 내에서는 에코디자인을 준수한 제품만 유통될 수 있다.
에코디자인은 순차적으로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에 적용될 예정이며, 금속·플라스틱·종이와 같은 원료도 검토 중이다. 평가 항목은 에너지 효율 등급, 물건의 내구성 정보와 수리 가능성, 재활용 용이성, 재활용 소재 비율 등이다. 교체가 쉬운 모듈화와 표준 부품 사용, 예비 부품 공급과 가격, 분해 가능성, 수리 정보 제공 등을 평가해 점수로 표시한다. 10점 만점에서 8점과 2점 제품이 있다면 어떤 제품을 사야 할까? 바로 8점 제품이다. 참 쉽죠? 이를 위해 물건에도 디지털 여권이 발급된다. 물건도 환경 영향 정보를 보여주는 여권을 내밀어야 국경을 넘을 수 있다. 이에 더해 대기업은 재고를 폐기할 경우 그 양과 사유를 공개해야 한다. 명품 브랜드 버버리가 브랜드 가치를 지키려 2017년 한 해에만 420억원어치 의류를 불태웠다. 물건은 과잉생산되어 허무하게 ‘화형’당하는데 현재 이 정보는 해당 기업만 안다.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는 ‘K-에코디자인 협의체’ 발족식을 열고 ‘자원효율등급제’를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EU의 에코디자인과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업계와 논의해 스마트폰과 무선 청소기를 대상으로 시범사업도 하기로 했었다. 얼마 전 유럽의회에서 포장 폐기물 규정이 통과되었다는 소식이 들렸고, 나는 1년이 넘은 ‘K-시범사업’은 어떻게 됐는지 궁금했다. 대학원 졸업식에서 R&D 예산 복원하라고 발언하다 ‘입틀막’ 당하고 끌려나간 연구원 꼴이었다. 외환위기 때도 줄지 않았던 과학기술 예산의 삭감으로 시범사업이 전면 취소되었다. 각국의 환경 규제는 기후위기 대응책이기도 하지만 무역 장벽을 치는 경제적 전략이기도 하다. 이 시범사업이 환경부가 아니라 산업부 담당인 이유다. EU에 수출 안 하기로 작정한 걸까. 대통령 잘못 뽑아서 잘 알지도 못하는 경제와 산업 걱정까지 하게 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북경찰, 이만희 의원 사무실에 “내란동조” 쪽지 붙인 고교생 잡으려 지문조사까지“국회의원 책임 방기 본인에게 책임 묻는 학생을 경찰력 동원해 ‘입틀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이스트 ‘입틀막’ 신민기 “윤석열 날뛰지 않는 것만으로도 큰 해방감”지난 2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위 수여식 ‘입틀막’ 강제 퇴장의 당사자인 졸업생 신민기씨가 내란죄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14일 국회에서 가결되자 “윤석열이 대통령으로, 김용현이 국방부장관으로 날뛰는 나라가 아닌 것만으로도 큰 해방감을 느낀다”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언론 입틀막'하던 류희림 때문에, 결국 방통위법 개정 가닥정치검열과 고발사주 등 각종 문제를 일으키면서도 물러날 생각 없이 '입틀막' 심의를 계속하는 류희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으로 인해, 국회에서 방심위원장을 탄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빠르게 논의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3일 전체회의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이스트 '입틀막' 사건, 국민 권익 탄압으로 확대된 비상 계엄2024년 2월 카이스트 졸업식장에서 발생한 '입틀막' 사건 책임자이자 국방부 장관인 김용현 전 장관이 주도한 12.3 내란 사태로 시민의 입틀막을 당한 신민기씨가 국민 전체로 확대된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신씨는 비상 계엄 이후 윤석열 탄핵 집회에 참석하며 국민들의 저항을 이어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권력을 위한 '입틀막 경호'와 멀어지는 대중윤석열 대통령의 경호 중심 의전과 대중과의 소통 거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호처, 윤석열 대통령의 '갈라파고스' - 입틀막 경호 논란윤석열 대통령 정권의 경호처는 대통령 보호를 넘어 권력의 척도로 자리매김하며 '입틀막 경호'라는 신조어를 낳았다. 박근혜 정권 당시 경호처의 권한과 김용현 경호처장의 실세 입장, 그리고 최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막는 등 경호처의 역할과 영향력을 다룬 기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