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24시] 尹치적 '대출환승' 왜 시들해졌나

대한민국 뉴스 뉴스

[기자24시] 尹치적 '대출환승' 왜 시들해졌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1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9%
  • Publisher: 51%

지난 10일 금융위원회는 '윤석열 정부 금융 분야 성과 및 향후 계획'이라는 내용의 자료를 배포했다.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뒤 2년6개월이 된 만큼 정책 성과를 홍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자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도입과 성공적인 정착을 설명한 부분이다. 금융위는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해 시장 자율 경..

지난 10일 금융위원회는 '윤석열 정부 금융 분야 성과 및 향후 계획'이라는 내용의 자료를 배포했다.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뒤 2년6개월이 된 만큼 정책 성과를 홍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자료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도입과 성공적인 정착을 설명한 부분이다. 금융위는"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해 시장 자율 경쟁에 따라 국민들의 이자 부담을 대폭 경감했다"면서"은행권의 적극적인 금리 경쟁과 이용자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2024년 10월 말 기준 약 29만명이 16조원 규모의 대출을 이동해 평균 1.53%포인트 낮은 금리로 갈아탐으로써 1인당 연 176만원의 이자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그러나 10개월이 지난 현재 갈아타기의 인기는 전만 못하다. 정부가 7월부터 폭주하기 시작한 가계대출에 놀라 은행권에 '대출 관리를 하라'고 압박을 하면서다.

정부의 가계대출 조이기 기조에 '혁신적 시스템'이라던 대출 갈아타기가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심지어 대출 관리 압박에 비대면 대출을 아예 내주지 않는 은행들도 있다. 소비자 편익이 최우선이라고 했던 연초와 연말의 풍경이 완전히 바뀐 것이다.이런 시스템을 출범 10개월 만에 '가계대출 관리'를 이유로 방치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금융당국과 기획재정부, 대출 폭증의 원인이 되는 부동산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가 협업해 톱니바퀴가 물려 돌아가는 듯한 정책 실행력을 보여주길 기대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필요한 서민·애타는 중기 외면”...대기업 대출은 20% 늘린 은행, 성장판 망가진다 [기자24시]“필요한 서민·애타는 중기 외면”...대기업 대출은 20% 늘린 은행, 성장판 망가진다 [기자24시]올 들어 3분기까지 5대 은행이 중소기업에 내준 대출은 전년 동기보다 겨우 6% 늘었다. 같은 기간 대기업 대상 대출은 20% 신장했다. 은행의 전체 기업 여신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중소기업의 4분의 1밖에 안 되지만 올해 대출 증가액 절대치는 양쪽이 유사하다. 이는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은행이 중소기업 대출을 10% 늘리는 동안 대기업 여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국회 첨단산업 지원 입법 서둘러야[기자24시] 국회 첨단산업 지원 입법 서둘러야급변하는 세계 경제 속 첨단산업 육성은 국가 차원의 과제다. 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테크놀로지, 클린에너지로 대표되는 첨단산업은 단순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뿐 아니라 국가의 경제 성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를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전 세계 주요국은 정부와 입법부가 합심해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미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제왕적 권한이 낳은 병폐[기자24시] 제왕적 권한이 낳은 병폐제왕은 과연 행복할까. 지난 10일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국정감사 출석 장면을 보며 떠오른 질문이다. 이날 그는 그룹 차원에서 전임 회장 친인척에게 350억원 규모의 부당대출을 내준 경위를 따지는 여야 의원 질타에 사죄했다. 그리고 지주 회장 권한 축소를 재발 대책으로 제시했다. 골자는 '제왕적 권한'이라 지적받는 지주 회장의 광범위한 인사권을 대폭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외로운 죽음' 늘어나는 사회[기자24시] '외로운 죽음' 늘어나는 사회'가장 외로운 죽음'인 고독사가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가 3661명으로 2022년(3559명)보다 더 늘었다. 2020년(3279명)부터 4년 연속 증가세다. 양상을 보면 더욱 씁쓸하다. 2021년까지만 해도 고독사 현장을 처음 먼저 발견한 사람은 가족이었지만 지난해부터는 집주인과 경비원, 심지어 택배기사가 더 많이 발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 매일경제기자24시 - 매일경제매일경제 사설, 칼럼 등 제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서울 핫플 다시 드리운 안전불감[기자24시] 서울 핫플 다시 드리운 안전불감2014년 4월 16일 TV 속에서 본 세월호의 모습은 10년이 지난 지금도 눈에 선하다. 당시 중학생이었던 기자는 처음에 탑승자 전원을 구조했다는 속보에 가슴을 쓸어내렸고, 이내 그 소식이 잘못됐다는 걸 알았을 때는 슬픔이 밀려왔다. 결국 그날 배 안에 있던 299명이 목숨을 잃었다. 내 또래들에게 세월호 사고는 단순한 '대형 참사'가 아니다. 어쩌면 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6: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