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알리·테무·쉬인)'를 필두로 한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의 한국 상륙에 토종 유통업체들은 속수무책이다. 가격과 물량을 앞세운 공세는 '차이니즈 인베이전(침공)'으로 불린다. 중국 업체들이 초저가 전략을 무기로 밀고 들어오는 것 자체는 나쁜 일이 아니다. 국내 소비자들로서는 저렴하게 상품을 살 수 있고, 상품 제조사들로서는 판로가 늘어나..
중국 업체들이 초저가 전략을 무기로 밀고 들어오는 것 자체는 나쁜 일이 아니다. 국내 소비자들로서는 저렴하게 상품을 살 수 있고, 상품 제조사들로서는 판로가 늘어나는 것이다. 더구나 알리는 판매자들에게 '제로 수수료' 정책을 펼치며 유인하고 있다. 한국 고객을 겨냥한 'K베뉴' 입점사들에는 1000억원 규모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밝히는 등 그야말로 파상 공세다.
쿠팡 등 국내 기업들도 그동안 내수시장을 갈라 먹던 경쟁에서 벗어나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역직구 등 해외 사업에 힘을 더 쏟아야 한다. 논란이 많아도 알리·테무가 먹히는 건 '필요한 상품을 값싸게 살 수 있다'는 사업의 본질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1960년대 비틀스의 '브리티시 인베이전'은 결과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세계 대중음악계의 경쟁을 높여 수준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차이니즈 인베이전' 역시 긍정적인 메기 효과가 될 수 있다. 그간 국내 소비자들을 호구처럼 우습게 알았던 유통사들이 이참에 정신 차리길 바라는 소비자들도 상당하다는 걸 기업들이 알아야 한다.
그러나 불량 상품과 부실 서비스, 유해물질 논란 등 전방위적으로 우려도 쏟아진다."알리에서 쇼핑해 절반이라도 건지면 성공한 것"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중국 업체들이 수집한 소비자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만만치 않다. 상품에 유해물질이 섞이거나 소비자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중국 내 강제노동으로 만들어진 상품이 팔리는 것은 눈앞에 닥친 일이다. 정부는 허겁지겁 상황 파악에 나섰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고, 중국 플랫폼에 대해서도 소비자보호법을 엄격히 적용하겠다고 했지만 벼락치기 대응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자칫 저질 중국 유통상품 파동이 소비자 전체의 신뢰 위기로 번진다면 잃는 게 너무 많을 것이다. 필요하다면 플랫폼법을 제정해 중국 업체들까지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K패션이 중국에 도둑맞았다…‘알테쉬’ 반격 나선 동대문동대문 기반 한국의 패션 산업, 일명 ‘동대문 커머스’는 중국의 거대자본을 등에 업은 ‘광저우 커머스’를 이길 수 있을까. 하지만 최근 소셜미디어에 광저우 커머스 콘텐트가 많이 노출되고 있어 주의 깊게 보고 있다'.(브랜디 관계자) 동대문 커머스들은 광저우 커머스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중. ◦ 인기 셀러 유치 경쟁 심해진다: 동대문 커머스는 한국 셀러, 광저우 커머스는 중국 셀러? 앞으로는 섞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토종 OTT 살려야 하는 이유지난 13일 정부가 범부처 차원의 미디어 콘텐츠 산업 융합 발전 방안을 내놨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분야를 보면 국내 콘텐츠 제작에 대한 세제 혜택, 1조원 규모의 미디어 투자 펀드 조성 등 생태계 발전 방향이 담겼다. 기존에 계속 논의됐던 정책이긴 하나 국내 미디어 콘텐츠 진흥이라는 방향성에 힘이 붙었다는 의의가 있다. K팝부터 한국 드라마와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우주청, 월급 더 많이 줘도 된다'주변에 편의점도 하나 없더군요.' 우주항공청 임시청사가 들어서는 경남 사천 아론비행선박 건물에 미리 탐방을 간 한 우주 관계자가 전해준 말이다. 그는 '월급이라도 많이 준다니 다행이지만 지원에 걱정이 앞선다'는 속내를 털어놨다. 우주항공청이 오는 5월 27일 개청을 앞두고 본격적인 인재 채용에 돌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은 지난 14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Today Pick+] 의료 대란, 어둠 속에 번져가는 대화론 | 뉴스레터40년 경력의 언론인들이 오늘 신문을 리뷰하고, 맥락과 관점을 더해 전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리셋 코리아] 알리·테무 공세, 국내 플랫폼 경쟁력 높여가야중국 유통망의 글로벌 버전인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해외 직접 판매 플랫폼의 한국 시장 침투가 거세다. 온라인 판매자 중 중견 판매자는 이미 국내 플랫폼용 판매 상품의 제조원을 국내 제조업체로 전환하고, 동남아 등의 신규 시장에서 해당 지역 총판을 구성하고, 중국에서 판매자 합작을 진행하면서 필요하다면 알리익스프레스 등에 입점한다는 기조 아래 체질 전환을 시도하거나 완료하고 있다. 이것이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와 해외 직접 구매의 단순 비교에서 적자가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의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알리·테무 짝퉁 적발 8배 급증…공정위 칼 꺼내 들었다알리·테무 무차별 공략 자율 안되면 동의 의결제 도입 中테무 작년 8월 한국 진출 반년만에 사용자 10배 급증 공정위 “국내대리인 지정하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