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앱 업계의 외식 업계 상생안 도출이 산으로 가고 있다. 배달 플랫폼과 입점 자영업자들의 상생을 도모하기 위해 7월에 출범한 상생안이 이달 중 결론을 낼 계획이다. 하지만 수수료 부담 완화와 투명화, 불공정 관행 개선 등은 논의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 1·2위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서로 '네 탓' 공방으로 기 싸움만 하는 게 사회적 타협이 지지부..
배달 앱 업계의 외식 업계 상생안 도출이 산으로 가고 있다. 배달 플랫폼과 입점 자영업자들의 상생을 도모하기 위해 7월에 출범한 상생안이 이달 중 결론을 낼 계획이다. 하지만 수수료 부담 완화와 투명화, 불공정 관행 개선 등은 논의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 1·2위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서로 '네 탓' 공방으로 기 싸움만 하는 게 사회적 타협이 지지부진한 1차 배경이다. 이들은 소비자와 업계의 불만에 정면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저쪽이 더 잘못했다"며 책임을 떠밀고 있다. 배달 수수료 부담에 배달 음식 가격을 더 높게 매기는 이중가격제가 논란이 됐을 때 쿠팡이츠와 배민은 보도자료를 번갈아 내며 경쟁사 탓을 해댔다. 자사 플랫폼에서 음식을 제일 저렴하게 팔도록 업주들의 팔을 비틀었다는 '최혜 대우'도 마찬가지다."쟤네가 먼저 했다. 욕하려면 저쪽 먼저 하라"는 유치한 대응만 난무했다.
이들이 비방전만 하는 사이 배달 장사를 해야 하는 업주들의 부담은 커져만 갔다. 배달 플랫폼들은 저마다"우리는 업주를 배려한다"고 생색내지만, 이들이 착실히 수익을 챙기는 사이 업주들의 수익성이 낮아진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돌고 돌아 결국 가격 인상은 소비자들이 짊어질 부담이 됐다. 정부와 국회 등 당국이 이렇다 할 리더십을 보이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수수료 완화, 관행 개선, 공공 배달 앱 활성화를 통한 경쟁 촉진 등 산적한 과제에 뾰족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배민이 선제적으로 매출 규모별로 수수료를 차등화해 받는 안을 제시했지만 세부안 확정까지는 갈 길이 멀다. 대통령실에서 '배달 수수료 상한제'를 꺼냈다는 말도 나왔다. 일방적인 가격 규제는 시장 왜곡을 일으키기 쉽다. 지나치게 단편적인 접근이다.
배달 수수료 차등화부터 시작해 배달비·광고비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소상공인들이 과도하게 돈을 떼인다는 인식을 없애야 한다. 플랫폼은 고부가가치 산업이지만 수수료 장사인 이상 경쟁력은 외식업이 건강할 때 높아진다. 하지만 정부가 상생협의체를 주도하고 있는 만큼, 사회적 타협을 위한 세심한 정책 패키지를 기대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상생' 안 보이는 배달앱 상생협의체…논의 장기화하나(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배달앱 이용 점주들의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고 배달앱 운영사의 일방적인 수수료율 인상 등을 방지하고자 가동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전하는 배달플랫폼 상생 협의…'100만원 벌면 20만원 수수료'(종합)(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숙박앱들이 소상공인으로부터 받는 중개 수수료를 한시 인하겠다는 상생안을 내놨지만, 배달앱 상생협의체의 수수료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전하는 배달플랫폼 상생 협의…'100만원 벌면 20만원 수수료'(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숙박앱들이 소상공인으로부터 받는 중개 수수료를 한시 인하겠다는 상생안을 내놨지만, 배달앱 상생협의체의 수수료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中企 경쟁제품 제도의 모순사회간접자본(SOC)의 핵심인 도로포장 원료로 국내 산업 발전의 근간이 된 아스팔트콘크리트(아스콘)가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된 때는 2007년. 이후 17년간 국내 아스콘 제조사 수는 우후죽순 늘었다. 이 가운데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회사는 단 한 곳에 그친다. 중소기업을 졸업한 대가는 컸다. 관급시장 수주 물량이 끊기면서 매출이 곤두박질쳤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자24시] 근로기준법 확대의 전제조건'근로자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 향상시키며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꾀한다.' 근로기준법 제1조에 명시된 법의 목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근로자 2521만명 중 779만명은 온전히 근기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 종사자들의 얘기다. 현행법은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부 조항에 대해서만 근기법을 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젊은 사람 다 떠났다” 공장엔 4050 아저씨들뿐…10년후 한국, 뭘 먹고 살까 [기자24시]“요즘 젊은 사람들 중 누가 공장에서 일하려고 합니까. 사람 구하는 게 가장 힘들어요.” 공산품의 제조 공정을 유튜브 촬영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 있는 여러 공장을 취재하러 다녔다. 대부분의 근로자는 중장년층이었고, 그들은 자신들이 생산직에 종사하는 마지막 세대라며 걱정했다. 기술을 배우려는 젊은 층이 급격히 줄어 머지않아 수많은 공장이 문을 닫을 것이라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