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사유] 국민 알 권리는 안중에도 없는 ‘비공개 공화국’

대한민국 뉴스 뉴스

[공개사유] 국민 알 권리는 안중에도 없는 ‘비공개 공화국’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newsvop
  • ⏱ Reading Time:
  • 2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5%
  • Publisher: 63%

정보공개센터 김예찬 활동가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자유'의 가치를 역설하며 '국민이 진정한 주인인 나라'를 만들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2년간의 행보를 돌아보면 윤석열 대통령이 만들고자 했던 나라의 모습은 '비공개 공화국'에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정치적 논란이 생길 때마다 정보를 숨기고, 통제하는 데 골몰하며 국민의 알 권리를 깡그리 무시해 왔기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경기 광명시 아이벡스스튜디오에서 '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린 열일곱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방기선 국무조정실장과 최수지 문화체육관광부 청년보좌역의 2024 청년정책 추진계획 보고를 들은 뒤 박수치고 있다. 2024.03.05. ⓒ뉴시스 사실 윤석열 정부의 이러한 행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대통령 취임식에 극우 유튜버를 초청한 사실이 논란이 되자,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초청자 명단을 파기했다고 둘러댔다. 명단 파기가 대통령기록물법 위반이라는 비판이 잇따르자, 다시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 중이라고 말을 바꿨다. 대통령실 용산 이전 과정에서 집무실 리모델링 공사를 시공능력이 의심스러운 소규모 건설사와 수의계약한 것이 논란이 되자, 재빨리 관련 수의계약 정보를 꽁꽁 감췄다.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김건희 여사의 비공개 일정이 보도되자, 바로 해당 자료를 비공개로 바꿨다. 논란이 생기면 일단 정보를 감추고 보는, 이른바 '논란 → 비공개 → 시간 끌기'가 윤석열 정부의 행정 공식인 듯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newsvop /  🏆 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부산의 스쿨존…25%만 시·종점 표지설치‘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부산의 스쿨존…25%만 시·종점 표지설치부산시 감사위, 초등학교 306곳 전수조사 결과 ‘기준 부적합’ 16개 구·군 모두 기관주의 조치 보호구역 내 노상주차장 폐지·보행로 확충 요구 부산의 어린이보호구역 중 25...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시아와 K리그를 대표하는 '울산 HD', 클럽 WC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아시아와 K리그를 대표하는 '울산 HD', 클럽 WC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AFC] 울산HD, 알 힐랄-우라와 레즈-알 아인과 함께 2025 FIFA 클럽 WC 출전 확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황 '동성애 혐오' 표현 사과... '불쾌하게 할 의도 없어'교황 '동성애 혐오' 표현 사과... '불쾌하게 할 의도 없어'주교들과 비공개 모임서 논란의 표현 사용... 교황청 사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무원 실명 '비공개' 두고 '인권보호 필요' vs. '공공기관 문턱 높아져'공무원 실명 '비공개' 두고 '인권보호 필요' vs. '공공기관 문턱 높아져'시흥시청 공무원 실명 비공개 조치 두고 엇갈린 평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악취 풍기는 침묵의 강... 이건 진짜 경관이 아니다악취 풍기는 침묵의 강... 이건 진짜 경관이 아니다[세종보 천막 소식 51일차] 수문 닫힌 공주보와 개방된 세종보, 두 곳만 비교하면 알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어떤 이유든 의사가 환자 떠날 권리는 없다[사설] 어떤 이유든 의사가 환자 떠날 권리는 없다대한의사협회가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며 집단휴진을 결의하면서 환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확대 발표로 촉발된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이 이미 4개월을 넘겼지만, 아직도 끝이 보이지 않는 답답한 상황이다. 설령 정부에 대한 강한 불만이 있다 하더라도 의사들이 환자들의 간절한 호소를 무시할 권리는 없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5 12: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