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의 문헌 속 ‘밥상’]고사리 꺾은 뜻은

고영 뉴스

[고영의 문헌 속 ‘밥상’]고사리 꺾은 뜻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1%

“국숫집 주인이 칡국수를 큰 대접으로 하나 내왔다. 또한 산골짜기에서 먹을 만한 맛이었다(店主餉以葛粉麵一大椀. 亦峽中佳味也).” 1822년 음력 3월16일부터 7월28일까지,...

1822년 음력 3월16일부터 7월28일까지, 오늘날의 평안남도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한 암행어사 박래겸은 암행의 기록 를 남겼다.

그 기록 3월25일자의 한 줄이 위와 같다. 조선 후기 평양과 같은 대도시로 가는 길목에는 국숫집이 있었다. 그때는 대개 칡 전분 또는 메밀가루를 반죽해 눌러 사리를 뽑았다. 초겨울에 갈무리한 메밀을 한 철 먹고, 메밀이 떨어지면 산야에 지천인 칡을 캐 전분을 받았다. 밀가루는 귀하디귀한 자원이었다. 보리도 다 먹고 벼 나오기는 먼 즈음, 한반도의 밀은 주린 배를 채워주는 고마운 작물이었다. 하지만 조선 팔도, 다수 백성의 국수까지 감당할 만큼 나지는 않았다.느릅쟁이란 느릅나무 전분이다. 북한 요리단체의 대표 격인 조선료리협회 웹페이지에 따르면 “느릅쟁이는 느릅나무뿌리를 캐여 껍질을 벗긴 다음 바싹 말리워 가루낸것”이다. 유례없는 소리가 아니다. 문헌 속의 ‘유근피’, 곧 느릅나무 뿌리 전분, ‘유백피’, 곧 느릅나무 껍질 전분이다. 둘 다 조선시대에 약용과 식용으로 널리 쓰였다.

다시 조선료리협회에 따르면 “느릅쟁이국수는 강냉이가루에 느릅쟁이를 섞어 국수사리를 만들고 동치미무우와 고기꾸미를 얹은 다음 국수양념장을 쳐서” 낸다. 그 맛은 “차분하면서도 질기고 구수”하다고 한다. 이런 경험이 참고가 됐으리라. 수백년 전 아메리카 대륙에서 건너온 감자의 전분은 한반도에서 금세 사리의 원재료라는 역할을 찾았다. 고구마 전분도 그 뒤를 잇는다.참고로 중국의 문호 루쉰은 이들의 이야기가 담긴 의 ‘백이열전’을 중국 역사상 명문으로 치켜세운 바 있다. 백이와 숙제는 주나라 무왕의 상나라 정벌을 의롭지 않다고 여겼다. 그래서 주나라의 곡식을 거부하고 산에 숨어 살며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었다. 나물만 먹었다고? 아닐 테다. 고사리 뿌리에도 전분이 가득했으니 또한 구황에 요긴했다.

나물로 먹는 고사리는 캐지 않는다. 꺾는다. 캤다면 뿌리 찧어, 전분 받아, 국수를 누르거나 수제비를 뜯거나 옹심이를 빚어 먹었다는 말일 테다. 물론 ‘채’에는 ‘채취’의 뜻이 있다. ‘미’는 고사리가 아니라 야생 콩을 가리킨다는 풀이가 있다. 한문 문법과 생물종 동정을 여기서 이루 다 따질 수 있겠는가. 아득한 고대로부터 오늘날까지, 뱃속에 풀칠하기가 단 한순간도 만만찮았음을 떠올릴 뿐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태선 '22대 국회 1호 법안, 민생회복특별법과 노란봉투법 돼야'김태선 '22대 국회 1호 법안, 민생회복특별법과 노란봉투법 돼야'민주당 원내부대표 인선돼 발언 "총선서 나타난 국민의 뜻은 신속, 과감, 확실히 하라는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진왜란 때 반출 ‘울산동백’ 기원 논란 30년 만에 ‘근거 없음’임진왜란 때 반출 ‘울산동백’ 기원 논란 30년 만에 ‘근거 없음’가토 기요마사가 울산 학성에서 발견설 울산역사연구소 “사료·문헌 근거 없어” 울산 중구, 표지판 없애고 구화 변경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태풍 이름도 개명을? 메기→고사리, 힌남노→옹망으로 바뀐다태풍 이름도 개명을? 메기→고사리, 힌남노→옹망으로 바뀐다올해부터 태풍 힌남노는 옹망으로, 메기는 고사리로 이름이 바뀐다. 세계기상기구(WMO) 태풍위원회에서 큰 피해를 준 태풍 이름을 퇴출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고사리, 호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이 회담] 이재명 작심 발언 “국정 방향 돌릴 마지막 기회…가족분 의혹도 정리해야”[윤·이 회담] 이재명 작심 발언 “국정 방향 돌릴 마지막 기회…가족분 의혹도 정리해야”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이번 총선에 나타난 국민 뜻은 잘못된 국정을 바로 잡으라는 준엄한 명령”이라며 “국정의 방향타를 돌릴 마지막 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진흙탕 싸움과 대비, 여기는 뉴진스만의 유토피아진흙탕 싸움과 대비, 여기는 뉴진스만의 유토피아민희진-하이브 갈등 국면 속 뉴진스 신곡 '버블 검' 뮤직비디오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열린객석으로 찾아온 연극 '스카팽', 참 괜찮네열린객석으로 찾아온 연극 '스카팽', 참 괜찮네[리뷰] 편안한 분위기 속 소통 극대화 눈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0:2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