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위드인] '우리 것이 콘텐츠' 게임사가 문화재에 주목하는 이유 | 연합뉴스

대한민국 뉴스 뉴스

[게임위드인] '우리 것이 콘텐츠' 게임사가 문화재에 주목하는 이유 | 연합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게임위드인] '우리 것이 콘텐츠' 게임사가 문화재에 주목하는 이유

김주환 기자=한국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국내 게임사들이 문화재에 관심을 두고 있다.중세 판타지풍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검은사막' 세계관과 달리, '아침의 나라'는 조선시대를 모티브로 한반도의 자연환경과 전통 건축, 한복, 민속놀이 같은 전통문화가 어우러진 새로운 지역이다.'아침의 나라' 제작 과정에서는 문화재청, 국립박물관문화재단, 한국관광공사, 국립고궁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을 비롯해 여러 국가기관과 문화재를 보유한 지자체의 역할이 컸다.'아침의 나라' 속 조선시대풍 건축물과 등장인물의 복식을 구현하는 데는 방대한 문화재 데이터가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으로 전해졌다.또 차기작인 '도깨비'에도 한국 전통문화를 모티브로 한 건물과 복식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2016년 문을 연 '문화 공공데이터 광장' 홈페이지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주요 국립 박물관의 유물 정보와 이미지, 3D 파일, 데이터베이스 등을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끔 공개돼있다. 지난 7일에는 '언리얼 엔진' 제작사인 에픽게임즈와 협업해 문화재의 패턴·질감 데이터 7종, 19세기 말 지어진 경남 창원의 전통 한옥을 스캔해 제작한 애셋 '창원의 집' 등을 전 세계 게임 개발자를 위해 무료로 공개했다.전통 문화와 문화재를 활용한 게임이 늘어나는 추세와 관련해 김정태 동양대 게임학부 교수는"문화재를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알리려는 정부 차원의 노력, 서양풍 판타지나 공상과학에서 눈을 돌려 새로운 IP를 발굴하려는 게임사들의 의도가 맞아떨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한국문화정보원의 '문화 공공데이터 광장'과 언리얼 엔진에 적용한 모습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게임 표절했다' 판교 달구는 저작권 소송 쟁점은 | 연합뉴스'게임 표절했다' 판교 달구는 저작권 소송 쟁점은 | 연합뉴스(성남=연합뉴스) 김주환 기자=국내 여러 게임사가 밀집한 경기 성남시 판교역 일대가 게임 지식재산(IP)권 관련 소송으로 떠들썩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개성공단 무단사용 중단하라…북 무응답시 조치 취할 것' | 연합뉴스정부 '개성공단 무단사용 중단하라…북 무응답시 조치 취할 것'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홍제성 기자=통일부는 6일 북한에 개성공단 내 우리 측 시설의 무단 사용을 중단하라는 내용의 통지문을 발송하려 했지만, 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역전승이 기쁜 벨 감독 '뒤집기가 대표팀의 DNA 될 수 있다' | 연합뉴스역전승이 기쁜 벨 감독 '뒤집기가 대표팀의 DNA 될 수 있다' | 연합뉴스(수원=연합뉴스) 최송아 기자='1-2로 지고 있던 경기를 뒤집은 거 자체가 우리 팀의 DNA가 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 사람을 불 속에' 일본에서 벌어진 일 끝까지 추적'산 사람을 불 속에' 일본에서 벌어진 일 끝까지 추적[지학순 정의평화상 수상한 오충공 감독 ①] 그가 관동대학살 놓을 수 없는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965년에도 강제동원 관련 '개인청구권 유효' 한일 인식 일치?1965년에도 강제동원 관련 '개인청구권 유효' 한일 인식 일치?일본 정부 그리고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 우리 정부에서도 최근 주장하고 있는, 2018년 확정된 우리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이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논리가 사실과 다를 수 있다는 자료가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7:5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