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노동이야기]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 당국자들의 회피와 부인의 언어들 이상민 한덕수 이채익 박희영newsvop
정부 당국의 책임 회피성 발언에 대해 글을 쓰고 있던 중, 지난 1일 이태원 참사 발생 나흘 만에 행안부장관, 용산구청장, 서울시장, 경찰청장 등의 사과가 ‘갑자기’ 이어졌다. 쓰고 있던 글은 정부 당국자들이 쏟아낸 회피와 부인의 언어에 대한 것이었다.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한덕수 총리가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방문규 국무조정실장,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한 총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2022.10.30. ⓒ뉴시스 희생자 대신 사망자, 참사 대신 사고라 하겠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도 여기에 해당한다. 참사 이튿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오전 회의에서 ‘이태원 참사’가 아니라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고 참사 희생자·피해자를 사망자나 사상자와 같은 ‘객관적’ 용어로 쓸 것을 논의했다고 한다. 이 지침은 16개 시·도 부단체장들에게 전달됐다. 부인의 언어가 몇몇 개인의 발언이 아니라 조직적인 것이었음을 확인시켜 주는 대목이다.31일 중대본 브리핑에서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가해자·책임 등이 명확하게 나온 부분이 있으면 희생자·피해자라고 사용하지만, 상황이 ‘객관적’으로 확인되고 명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하지 않을까”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 브리핑 내용에서 두 단어를 홑따옴표로 표기한 것은 객관적, 중립적임을 내세워 다른 명명을 정당화하는 흔한 방식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대화와 소통의 차단도 부인 전략의 하나다. 지난 1일 오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정부 현안보고를 받기 앞서 행안위 위원장은 “오늘 회의는 정부의 사고 수습에 국회가 적극 협조한다는 의미에서 현안보고 내용에 대한 질의를 실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기서 질의 생략은 ‘적극 협조’와 연결된다. 질의는 ‘비협조’, ‘애도를 해치는 행위’로 의미화된다. 결국 의원 질의와 의사 진행 발언은 차단됐다.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하고 그 기간 출근길 약식 기자회견을 하지 않기로 한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이는 재난 대응 매뉴얼에 포함된 ‘신속하고 투명하게 관련 정보를 공개’하라는 대원칙과도 배치되는 것이지 않은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속보]경찰청, ‘이태원 참사’ 서울청·용산서·용산구청 동시 압수수색경찰청은 2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용산경찰서 압수수색에 나섰다. 용산경찰서는 이태원 핼로윈 참사 발생지를 관할하는 경찰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권 퇴진운동' 동향 파악 우선한 경찰...세월호 때와 비슷경찰, 이태원 참사 이틀 뒤 내부 문건 작성 / 11쪽 보고서…주요 시민단체 반발 분위기 자세히 적어 / '이태원 참사, 정권 퇴진 운동 끌고 가는 대형 이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112 신고‥'압사당할 것 같다'15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이태원 참사 당일, 사고 발생 이전부터 현장이 위험하다는 112 신고가 잇따랐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청은 이태원 참사 발생 시간인 밤 10시 15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