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아이 지원에 본인 노후 준비는 뒷전
1970년대 태어난 이른바 ‘X세대’의 월평균 소득은 624만 원으로 전체 세대 중 가장 많이 벌고 있지만 지출 역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우리금융그룹은 16일 X세대를 주목한 ‘2024 우리금융 트렌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X세대는 1970~1980년대 사회적·경제적 변화 속에 성장해 당시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을 가진 ‘젊은 세대’로 불렸다. ‘X’라는 이름 역시 이 세대를 기존의 틀로 정의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붙여졌다.
올해 기준 만 45~54세인 X세대의 월평균 총소득은 624만 원으로, M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보다 100만 원 이상 많았다. 경력과 전문성을 높게 쌓으면서 근로소득이 고점에 도달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빠듯한 생활에 X세대의 대다수인 90%는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소비를 줄이려고 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두드러진 절약 방법은 배달 음식·외식 횟수를 줄이는 것이었으며, 심지어 X세대의 71%는 추가 소득 마련을 위해 노력했다고 응답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민생경제 살려라” 총력전...양극화 해소 위해 이것까지 한다는 용산尹 “전향적인 노력 펼치겠다” 경기회복 위해 재정투입 확대 내년초 추경 편성엔 선긋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업들이 경쟁력 강화와 활력 회복을 위해 노력경기 침체 속에서도 기업들은 활력 찾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 주주 환원 정책 강화, R&D 투자 등을 실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3년간 배당금을 지급하고, SK그룹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본원 경쟁력을 강화하며, 현대차와 기아는 국제 신용평가사로부터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LG그룹은 자사주 소각과 배당 정책 개선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있으며, 포스코그룹은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업들, 경기 침체에도 활력 찾고 기업가치 높이기 위해 노력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자동차그룹, LG그룹 등 대기업들은 경기 침체 속에서도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자사주 매입, 주주 환원 정책 강화, 연구개발 투자 확대 등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업들이 경제 침체 속에서도 경쟁력 강화와 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경기 침체 속에서 기업들은 배당금 증가와 R&D 투자를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이고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주주 환원 정책을 유지하며, 산업 전반에서 기술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SK그룹은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진행하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무역수지 균형화 도모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트럼프 신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무역수지 균형화를 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이코노미스트] '루저' 만드는 고령자 고용 안된다고령자 계속고용 허용한 일본근로자는 임금 깎여 의욕 잃고기업은 생산성 떨어져서 손해日, 부작용 타개 위해 노력 중韓, 정년연장 신중한 접근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