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은 하루 빨리 성과를 내라고 독촉했지만, 양 교수는 '인프라 구축을 허락하지 않으면 회사 ID카드를 반납하겠다'고 담판을 지어 제조 공정 통합 등 R&D 인프라를 닦았다. 양 교수는 '당시 제품(product)이 왕이고, 제조(manufacture)는 천한 서비스업에 불과했다'며 'TSMC보다 훨씬 기술이 앞섰던 삼성·IBM·인텔은 파운드리를 신경도 쓰지 않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양 교수는 TSMC 퇴사 후 SMIC 사외이사와 인텔 파운드리 기술고문 등으로 미국에서 지내다 지난해 귀국해 국립대만대에서 겸임교수로 강의를 시작했다.
The Company 관심 애플· 엔비디아 첨단 칩 주문을 독점하고 있는 TSMC 의 역사를 되짚으면 6명의 연구개발 공신을 만나게 된다. 제조 하청 TSMC 를 기술 자립의 길로 이끈 6인방을 대만인들은 ‘ TSMC 의 6기사’라고 부른다. 삼성전자 를 거쳐 중국 SMIC CEO가 된 량멍쑹, SMIC 부회장으로 영입됐던 장상이도 그중 하나다.
6기사 중 유일하게 반도체 업계를 떠나 TSMC에 쓴소리를 하며, 그러나 여전히 대만의 미래를 위해 일하는 이가 있다. 양광레이 국립 대만대 객원교수다. 그는 27년간 TSMC에서 일하며 R&D 총괄을 역임했고, 지난해까지는 인텔 기술고문을 지냈다. TSMC의 영광을 만든 그는 지금 TSMC의 그림자를 걱정한다. 대만의 공학 교육은 지나치게 분업·전문화됐고, TSMC 신입사원의 이직률은 17%에 달했다. 지난 3월 타이베이에서 만난 그를 지난달 서울에서 다시 만났다. 양 교수는 반도체 기술 자체에 관한 언급는 피했다. “TSMC R&D의 독점정보보호위원회 의장이었고, TSMC로부터 소송을 당하고 싶지도 않다”면서다. 그러나 TSMC가 안고 있는 숙제와 삼성전자에 대한 조언엔 망설임이 없었다. TSMC 임원 출신이 한국 언론과 인터뷰한 것은 처음이다.1. TSMC 성장의 비결 TSMC의 역사를 대만 반도체 전문가들은 3개의 시기로 구분한다. ① 1987~97년의 제조 하청기 ② 1998~2008년의 기술 축적기 ③ 2009년 이후의 투자 증대기다. 1기에서 2기로 전환을 이룬 비결로는 크게 두 가지, 해외 인재 유입과 파운드리 집중을 꼽는다.1970~80년대 국립대만대학을 졸업한 이공계 인재들은 대부분 미국으로 박사 유학을 갔다. 1987년 설립된 TSMC는 곧 파격적인 주식 보상을 내걸고 이들을 불러들였다.
뭐가 문제였나?“아시아 기업들의 생산성은 대체로 세계 최하위권이다. 시간당 생산성이 낮은 한계를 장시간 노동으로 메운다. 유교에서 비롯된 문화 같은데, 정말이지 모든 사람의 피와 뼈에 녹아 있는 듯하다.”
반도체기술 TSMC 모리스창 젠슨황 엔비디아 삼성전자 파운드리 인텔 양광레이 마크리우 더컴퍼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TSMC 임원 출신 첫 인터뷰…삼성 파운드리에 던지는 경고경영진은 하루 빨리 성과를 내라고 독촉했지만, 양 교수는 '인프라 구축을 허락하지 않으면 회사 ID카드를 반납하겠다'고 담판을 지어 제조 공정 통합 등 R&D 인프라를 닦았다. 양 교수는 '당시 제품(product)이 왕이고, 제조(manufacture)는 천한 서비스업에 불과했다'며 'TSMC보다 훨씬 기술이 앞섰던 삼성·IBM·인텔은 파운드리를 신경도 쓰지 않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양 교수는 TSMC 퇴사 후 SMIC 사외이사와 인텔 파운드리 기술고문 등으로 미국에서 지내다 지난해 귀국해 국립대만대에서 겸임교수로 강의를 시작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 파운드리 생태계 승부수는 '종합 반도체'…TSMC 추격 속도(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삼성전자[005930]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고객사 확보를 위해 파트너사들과 손잡고 파운드리 생태계 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람이 지나는 길이 보여요”…공포영화 아니고 에어컨 신기술, 이게 무슨 일삼성·LG, AI 에어컨 전쟁 삼성, 에너지사용량 30% 절약 LG, 집 구조따라 바람 최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해병 1사단 출신’ 민주당 이재강 “윤 정권은 보수 참칭 세력”“민주당, 풀뿌리 직접민주주의 전면화해야”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삶] '인간시장' 김홍신 '南北 100년이면 타 민족처럼 돼 통일어렵다'[※ 편집자 주=김홍신 작가의 인터뷰 기사는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 첫 번째는 7월1일 [삶] '인간 시장' 김홍신 "국회의원 연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삶] '인간시장' 김홍신 '우리민족, 베이징 근처까지 진격한 적 있다'[※ 편집자 주=김홍신 작가의 인터뷰 기사는 분량이 많아 네 차례로 나눠 송고키로 했고 이번이 마지막 네 번째입니다. 첫 번째는 7월1일 [삶...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