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교통방송의 '옛날'로 돌아갈 수 있을까?

뉴스 뉴스

TBS, 교통방송의 '옛날'로 돌아갈 수 있을까?
TBS교통방송미디어재단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52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8%
  • Publisher: 53%

옛 교통방송 콘텐츠를 잃어버린 채널, 재단법인 출범 이후 파행 겪고 있는 TBS. 방송통신위원회 재허가 여부 불투명으로 채널 정상화 미뤄지고 있는 가운데, '옛날' 방송 복귀 가능성에 대한 낮은 기대와 시대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제기되고 있다.

강혜란 문화선임기자 연식을 꽤 먹어서인지 아직도 ‘ TBS = 교통방송 ’이란 고정관념이 강하다. 1990년 TBS FM 라디오 채널(지상파 95.1㎒)을 필두로 2005년 TV 채널(유료), 2008년 영어 전문 라디오 채널(지상파 101.3㎒)을 개국한 이곳이 2020년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로 재단법인 출범하면서 교통방송 이라는 타이틀을 떼버렸는데도 말이다. 실제로 명절·연말연시 등 교통량이 폭증할 때 수도권 운전자들이 우선 의지해 온 게 TBS FM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9월 말 이후 이들 채널은 가요 무한반복을 하거나 예전 프로그램을 재탕하는 중이다. 이번 설 귀경길에 별생각 없이 이들 채널을 틀었다가 DJ도 없이 음악만 나와 당황했다는 이가 적지 않다.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의 상암동 사옥 모습. TBS 는 지난해 9월 서울시로부터 독립 후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시사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 편파 논란으로부터 지난해 9월 서울시 출연기관 지위 해제까지 삐걱대던 ‘TBS 사태 타임라인’을 굳이 들출 생각은 없다. 대규모 희망퇴직에 이어 무급 휴직, 임금 미지급이 이어지면서 재단 내부의 동요는 극에 달해 있다. TBS 측은 상업광고가 가능한 비영리법인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에 정관 변경허가를 신청했지만 방통위 업무가 올스톱되면서 이마저도 막힌 상태다. 이진숙 방통위원장이 탄핵심판 다툼 끝에 복귀했어도 위법 논란이 가시지 않은 ‘2인 체제’에서 지상파 재허가 등 현안이 속결될지 미지수다. 그러는 동안 TBS 채널 정상화는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얼마 전 탑승한 택시에선 교통전문가를 자처하는 유튜버의 1인 채널을 크게 틀고 있었다. 기사는 “운수 정책을 제대로 알려주는 방송사가 없다. 예전엔 TBS를 들었는데 언젠가부터 이상해지더니 요즘은 개점휴업 같더라”고 했다. 영어 라디오 TBS eFM의 파행도 큰 문제다. 어느 외국인 교수는 “코로나19 때 TBS eFM의 특집방송이 큰 도움이 됐는데 요즘은 북한 오물풍선 같은 이슈를 따라잡지 못해 불안하다”고 했다. 앞서 TBS eFM 콘텐트를 공유해 온 부산·광주의 영어방송 채널은 얼마 전부터 아리랑 영어FM 제주방송국의 프로그램으로 갈아타서 송출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 거주 외국인 230여 만 명의 절대다수가 살고 있는 수도권의 영어 라디오 공백이 그대로란 점이다. TBS는 2020년 미디어재단 전환에 앞서 방통위로부터 ‘교통·기상 방송을 중심으로 한 방송 사항 전반에 충실하겠다’는 조건으로 허가받았다. 이 허가는 지난해 말로 종료됐다. 방통위 재허가를 위한 회생 방안을 놓고 TBS 내부의 알력 싸움이 치열하다는 얘기가 들린다. 일각에선 “조만간 정권이 교체되면 옛날로 돌아갈 수 있다”는 꿍꿍이도 내비친다고 한다. ‘옛날’이 뭔진 몰라도 설마 ‘방송심의 무더기 제재’ 프로그램 시절 얘긴 아닐 거라고 믿고 싶다. 흘러간 옛노래만 틀어주는 공영방송 주파수를 놓고 원점에서 논의가 필요한 때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TBS 교통방송 미디어재단 파행 재허가 영어 라디오 공영방송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을사년, 다시 찾은 '이상한 힘' - 국민의 희망을사년, 다시 찾은 '이상한 힘' - 국민의 희망탄핵정국과 국제 정세 불안 속에서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이상한 힘'이 다시 빛을 발할 수 있을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옛날 이야기 속 맛있는 이야기옛날 이야기 속 맛있는 이야기옛날 이야기 좋아하는 필자의 글쓴이가 옛날 이야기 속 음식 묘사를 통해 세계 각국의 맛과 문화를 탐색한 책 소개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종석, '대화와 타협을 가볍게 여기는 민주당, 국민 신뢰 얻을 수 있을까'임종석, '대화와 타협을 가볍게 여기는 민주당, 국민 신뢰 얻을 수 있을까'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민주당을 비판하며, '대화와 타협을 가볍게 여기고 이재명 대표 한 사람만 바라보며 당내 민주주의가 숨을 죽인 지금의 민주당은 과연 국민 신뢰를 얻을 수 있을까'라고 질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오타이 소비로 본 중국 춘절 경기…일단 회복 중, 1년 전 수준까지는 아직마오타이 소비로 본 중국 춘절 경기…일단 회복 중, 1년 전 수준까지는 아직중국 경제는 올해 기지개를 켤 수 있을까. 연중 최대 대목인 춘절(중국 음력설) 연휴를 앞두고 올해 중국 고급주 시장은 지난해 하반기 부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 '잠자는 백골공주'에서 탈피할 수 있을까김민전 국민의힘 의원, '잠자는 백골공주'에서 탈피할 수 있을까김민전 의원은 과거 중도개혁적 인사로 알려졌지만,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는 의석을 잡은 후 '절박함'이 '백골공주'로 변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부정선거 음모론'을 공유하며 '민주당의 무도함'을 역변 '진정한 정치개혁'의 방향을 제시했다. 그의 변화는 당 내외에서도 논란을 일으키며, '잠자는 백골공주'라는 멸칭이 붙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학가, 등록금 인상 '도미노' 막을 수 있을까대학가, 등록금 인상 '도미노' 막을 수 있을까국민대, 서강대, 연세대 등 서울대학들도 등록금 인상 결정. 교육부는 동결 유지 입장이지만, 대학들은 재정난과 학생들의 요구 등으로 인상 의사 강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6 14:5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