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제2공항의) 입지 타당성이 인정된다”고 태도를 바꾼 것을 두고 환경단체와 제2공항 반대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 자세히 읽어보기
2021년 3월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대수산오름 정상에서 내려다본 전경. 정부는 이곳 성산읍 일대를 제주 제2공항 부지로 점찍었다. 자료사진 ☞한겨레S 뉴스레터를 구독해주세요. 검색창에 ‘에스레터’를 쳐보세요. 환경 파괴, 오버투어리즘 등 우려를 사고 있는 제주 제2공항 건설의 ‘허들’이 또 하나 사라졌다. 환경부는 지난 6일, 국토교통부의 제주 제2공항 개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 ‘조건부 협의’ 의견을 냈다. 지역 주민과 제주도에 충분한 정보 제공, 항공 안전을 위한 조류 충돌 방지 대책 수립, 항공소음 영향 대책 수립 등을 전제로 국토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2공항 건설에 동의한 것이다. 국토부가 처음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낸 2019년과 보완 제출한 이후 2021년의 ‘반려’ 결정 때보다 상황이 달라진 게 별로 없는데도 환경부가 “ 입지 타당성이 인정된다”고 태도를 바꾼 것을 두고 환경단체와 제2공항 반대 주민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멸종위기 조류 서식지 훼손, 조류 충돌 위험성, 안전성 위험, 해양 수질 오염 등을 우려하며 국립생태원과 해양수산부 등이 입지 타당성 검토 의견을 냈지만, 환경부는 이를 묵살하고 제2공항 건설에 동의했다. 환경부와 국토부는 전문기관 검토 의견, 전략환경영향평가 보완 가능성 검토 용역 보고서 등을 비공개하는 등 제2공항 추진을 전제로 밀실 협의를 해왔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환경부가 멸종위기 조류 서식지 문제 등 관련 기관들의 지적을 전혀 수용하지 않은 정황이 속속 드러났습니다. “환경 훼손이 우려된다며 지금까지 환경부가 국토부에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보완을 요구한 것만 세차례고, 2021년엔 반려까지 했어요. 국토부는 이번에 ‘반려 사유를 해소하겠다’며 용역 연구도 했고요. 그런데 그 과정이 전혀 공개가 안 됐어요. 그래서 이의를 제기하거나 감시를 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었는데, 조건부 협의 발표 뒤 검토기관 의견들을 살펴보니 거의 다 부정적이잖아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광풍 못 막는 환경부, 설악산에 봄꽃 대신 케이블카가 피었다네이버 지도에 ‘설악산 케이블카’를 검색하면 두 가지 결과가 나온다. 하나는 1970년에 만들어진 ‘설악 케이블카(권금성 케이블카)’다. 설악산 소공원에서부터 높이 700m 봉우리인 권금성까지 1.1㎞를 잇는다. 설악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직전 박정희 전 대통령의 맏사위 일가가 사업 허가를 받아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다.다른 하나는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다. 이름 뒤에 ‘(2026년 예정)’이라고 적혀 있다. 지난 2월27일 강원도 양양군의 오색 케이블카 사업계획이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를 사실상 통과하면서 청신호가 켜졌다.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일회담 성과 두고...'백기 투항' vs '국익 확보'상임위도 한일회담 공방…태극기 붙이고 신경전 / 지소미아 정상화 두고…'北 억제' vs '굴종' / 국방부 '지소미아 정상화, MD 편입 의미 아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천 봉양농협 직원들 '조합장 37년간 재임하며 갑질 횡포'제천 봉양농협 직원들 '조합장 37년간 재임하며 갑질 횡포' 충북인뉴스 갑질 제천_봉양농협 충북인뉴스 최현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노동부, 한일정상회담 비판 전교조에 '협박성 공문''굴욕외교' 규탄 성명서에 "정당한 노조 활동 아냐"... "박근혜 정부 때도 없었던 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