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 쓱닷컴에 FW컬렉션 단독 출시해 명품시계 피아제·디올 뷰티도 韓선공개 반응 빠른 韓시장 인기…한류열풍도 한몫
반응 빠른 韓시장 인기…한류열풍도 한몫 명품을 비롯한 글로벌 패션뷰티 브랜드들이 한국에 먼저 신상품들을 출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한국 소비자들의 빠른 반응과 브랜드에 대한 높은 애정, 또 한류 열풍 등에 따른 바이럴 마케팅 효과 등을 노리고 먼저 문을 두드리는 것이다. 그만큼 패션뷰티업계에서 한국 시장의 중요성이 높아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26일 SSG닷컴에 따르면 독일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휴고보스의 보스는 SSG닷컴 공식 스토어를 통해 FW컬렉션 일부 제품을 한국에서 가장 먼저 출시했다. 보스의 이번 컬렉션은 ‘서울’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컬렉션으로 바시티 자켓, 맨투맨, 가디건, 머플러까지 총 4가지 스타일로 구성됐다. 글로벌 패션뷰티 브랜드가 한국에 단독 선출시 전략을 펼친 것은 보스가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8월에는 스위스 럭셔리 시계 브랜드인 피아제가 무려 정가가 2500만원에 달하는 글로벌 신상품 ‘폴로 크로노그래프’를 전세계 최초로 SSG닷컴에 단독 선출시했다.또 지난 4월에는 크리스챤 디올 뷰티가 핸드크림 신제품인 ‘NEW 디올 르 밤’을 디올 뷰티 코리아 온라인 부티크를 통해 한국에 단독 선출시했으며, 2월에는 입생로랑 뷰티가 ‘꾸뛰르에디션 쿠션 2종’을, 1월에는 랑콤이 ‘제니피끄 아이&래쉬 세럼’을 한국 고객들에게 미리 선보였다.패션뷰티 업계 관계자들은 △전세계적인 한류 열풍 △한국 소비자들의 빠른 반응과 높은 명품 소비량 △활발한 SNS에 따른 바이럴 마케팅 효과 등을 이유로 꼽았다.
또한 럭셔리 e커머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 SSG닷컴의 역할도 컸다. SSG닷컴은 신세계백화점이 보유한 명품 경쟁력을 온라인으로 연결시켜 글로벌 패션뷰티 브랜드를 꾸준히 입점시키는데 성공하며 한국 단독 상품 출시를 적극적으로 이끌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월에는 프랑스 명품 그룹 루이비통모에헤네시의 화장품·향수 부문인 ‘LVMH 뷰티’ 공식 스토어를 열었고, 4월에는 프랑스 명품 샤넬의 시계 브랜드 ‘샤넬 워치’가 세계 최초로 e커머스 입점 플랫폼으로 SSG닷컴을 선택한 바 있다.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한류 열풍 영향으로 ‘한국 패션뷰티 스타일이 쿨한 것’이라는 인식이 전세계에 확산되면서 글로벌 브랜드들이 앞다퉈 한국 소비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자 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관계자는 “e커머스와 SNS 활용에 익숙한 한국 소비자 특성 덕에 반응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느끼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피아제·보스·디올 …'한국서 인정 받아야 뜬다'글로벌 패션뷰티 제품국내서 단독출시 잇달아바이럴 마케팅 효과 기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혐의·무죄’ 받은 아동학대 사례자 취업제한 없앤다···인건비 지원 규제 중단지자체로부터 아동학대 사례 판단을 받으면 이후 수사나 재판에서 무혐의·무죄 판결을 받더라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숨 돌린 中企, 화학안전 인력 고용 쉬워져'尹킬러규제' 화관法 손질유해물질관리자 인정 자격증25종→37종으로 확 늘리기로기술인력 자격 완화 5년 연장영세사업장 구인난 현실 반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처음엔 한국 여신도 그곳을 다음엔”…JMS 2인자 여목사 ‘충격폭로’“나도 선교회서 배척당해” 주장 “메시아는 예수님뿐…정명석 성범죄 인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반도체 승리”라던 화웨이…정작 신제품 발표회서 입 꾹 닫아중국 화웨이가 25일 신제품 발표회를 연 가운데 최근 깜짝 출시한 스마트폰 ‘메이트60프로’ 성능에 대해선 정작 입을 닫아 소비자들 사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지난달 말 공개된 메이트60프로는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D램과 낸드 모두 SK하이닉스 제품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SK하이닉스가 경위 파악에 나선 상황이다. 로이터 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美 놀래킨 7나노 화웨이폰…막상 신제품 발표회선 ‘함구’이날 행사의 주인공은 중국이 자체 기술로 만든 2세대 7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칩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진 ‘메이트60 프로’로 여겨졌다. 지난달 말 화웨이가 메이트60 프로를 선보이며 이날 행사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발표가 예상돼 중국의 소셜미디어(SNS) 웨이보 등에선 이날 행사와 관련해 수많은 게시글이 올라왔다. 그러나 온라인으로만 수백만명이 지켜본 이날 행사에서 화웨이는 메이트60 프로의 구체적 성능에 대해선 입을 꾹 다물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