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파병 북한군 1500명, 이미 전장에 투입”

북한 뉴스

“추가 파병 북한군 1500명, 이미 전장에 투입”
추가 파병파병 가능성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34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1%
  • Publisher: 53%

우크라이나에 추가 파병된 북한군 1500여 명이 격전지인 쿠르스크 인근에 이미 투입됐다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5일 밝혔다. 최근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정보총국, 특수작전군 고위급 인사들을 만난 유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차 파병된 북한군 1500여 명이 이미 현지 적응 훈련 뒤 러시아 쿠르스크 인근에 배치됐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지난 1월 생포된) 북한군 포로를 심문한 결과 지시 받은 주된 임무는 실전을 통해서 현대전을 많이 경험하는 것'이라며 '북한군은 전투 초기 드론전 등에 취약했지만 점점 현대전에 적응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는 우크라이나 측의 평가를 전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를 방문해 정보총국, 특수작전군 고위급 인사들을 만난 유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차 파병된 북한군 1500여 명이 이미 현지 적응 훈련 뒤 러시아 쿠르스크 인근에 배치됐다”고 밝혔다. 또 “ 북한군 총 3500여 명이 러시아 극동 지역 다섯 곳에서 현지 적응 훈련 중이며, 3차 파병 가능성 도 있다”고 지적했다. 4000여 명의 북한군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5000여 명이 보충된 셈이다.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은 “북한군 5명이 러시아군 10명의 전투력과 대등할 정도로 높은 전투력을 보유”한 것으로 판단한다고도 유 의원은 전했다. 우크라이나 군인들은 “북한군이 공포심이 없고 체력이 강하다”고 입을 모았다고 한다. 유 의원은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받은 군 고위 관계자의 브리핑에서 우크라이나 측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는데도 북한군이 저돌적으로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은 이해할 수가 없다”며 “도대체 왜 이렇게 절실하냐”고 되묻기도 했다고 전했다. 북한군이 총알받이로 소모되는 와중에도 전장에서 맹목적인 전투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사상 무장이 잘 돼 있는 북한군에게는 방송이나 항복 유도 전단 살포 등 우크라이나 측의 심리전도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유 의원은 설명했다. 다만 북한군이 러시아 군인의 휴대전화를 빌려 북한에 있는 가족과 연락을 시도하는 정황도 포착됐다. 이를 통해 파병 소식이 북한 내부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 북한군은 ‘현대전 경험 습득’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도 다시 확인됐다. 유 의원은 “ 북한군 포로를 심문한 결과 지시 받은 주된 임무는 실전을 통해서 현대전을 많이 경험하는 것”이라며 “북한군은 전투 초기 드론전 등에 취약했지만 점점 현대전에 적응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는 우크라이나 측의 평가를 전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추가 파병 파병 가능성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북한군 우크라이나 파병 쿠르스크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추가 파병 북한군 1500명, 이미 전장 투입…전투력 러시아 2배''추가 파병 북한군 1500명, 이미 전장 투입…전투력 러시아 2배'우크라이나에 추가 파병된 북한군 1500여명이 이미 격전지인 쿠르스크 인근에 투입됐으며, 이와 별개로 3500여명이 러시아 극동 지역에서 훈련을 받고 있다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5일 밝혔다. 최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유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2차 파병된 북한군 1500여명이 이미 현지 적응 훈련 뒤 러시아 쿠르스크 인근에 배치됐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국방정보총국은 북한군 장성 3명이 현지에서 북한군을 지휘하고 있다고 밝혔고, 한국 정보기관도 파병된 장성은 3명이라고 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4000명 사상 북한군, 3000명 또 보냈다…우크라 2차 파병[단독] 4000명 사상 북한군, 3000명 또 보냈다…우크라 2차 파병우크라이나 국방부 정보총국(HUR)에 따르면 지난해 쿠르스크 전장에 배치된 북한군 1차 파병 병력의 규모는 약 1만 1000명이었고, 이 중 4000여 명이 숨지거나 다쳤다.(21일 HUR 대변인 언론 인터뷰) 통상적 군사교리(military doctrine) 상으로 전체 병력의 20~30%가 손실됐을 때는 더 이상 전투가 불가능하다고 본다. 북한 역시 병력 보충 없이 1차 파병 인력으로만 전투를 이어가는 게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으로 2차 파병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정원 '北, 우크라 추가 파병…이달 초 전선 다시 투입'국정원 '北, 우크라 추가 파병…이달 초 전선 다시 투입'북한이 올해 1~2월 사이 최대 3000여 명에 이르는 병력을 러시아에 추가로 파병했다는 중앙일보 보도(2월27일자 1·3면)와 관련, 국가정보원은 27일 '북한군이 2월 첫 주부터 쿠르스크 전선에 다시 투입됐다'며 '일부 추가 파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규모는 계속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북한군이 전투력 유지를 위한 추가 파병이나 병력의 순환 배치를 진행할 가능성을 이미 주시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는 이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1~2월 사이에 1000~3000여명 규모의 북한군이 러시아 측의 화물선과 군용기 편으로 쿠르스크 전선에 신규로 배치한 정황을 단독으로 보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젤렌스키, 북한 추가 파병 2만명 '정보 입수'…전문가 '가용 병력 10만' 주장젤렌스키, 북한 추가 파병 2만명 '정보 입수'…전문가 '가용 병력 10만' 주장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가 북한군의 추가 파병 가능성에 대해 주장하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혹시 북한의 추가 파병이 사실로 밝혀진다면 북한군 규모는 3만명 이상으로 더욱 커질 것이며, 이는 전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전체 경보병 20만 명 가운데 최대 10만 명이 파병 가능하다는 관측을 제시하며 북한의 파병 의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크라에 생포된 북한군 “영문도 모르고 전장에…명령이라 싸웠다”우크라에 생포된 북한군 “영문도 모르고 전장에…명령이라 싸웠다”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다가 포로로 붙잡힌 북한군 2명이 서방 언론과의 첫 인터뷰를 통해 '전쟁의 실상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전장에 배치됐다'고 밝혔다. 지난달 9일 전쟁터에서 생포된 이들은 대남공작을 담당하는 정찰총국 소속으로 '영문도 모르고 전쟁터로 끌려왔다'고 증언했다. 이 공격으로 다리를 다친 백씨는 북한군의 지침대로 자결하려 했지만 이내 의식을 잃었고 닷새 뒤 우크라이나군이 백씨를 발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북 추가 파병, 트럼프 ‘동맹보다 실리’, 한반도 안보의 두 불씨[사설]북 추가 파병, 트럼프 ‘동맹보다 실리’, 한반도 안보의 두 불씨북한이 이달 초부터 우크라이나가 점령 중인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전장에 추가 파병한 걸로 보인다고 국가정보원이 27일 밝혔다. 국정원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19:3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