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책 중) 특이한 건 국내에서 하는 말과 해외에서 하는 말이 다르다는 점이다. 국내에서 하는 말을 해외에 나가서 똑같이 하면 창피하다는 걸 알기 때문이라고 본다.” 📝 김다은 기자
려 지구의 유한함이 기후위기라는 난제를 풀 수 있는 열쇠임을 믿었다. 결국 살려면 인간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 샤름엘셰이크에서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리고 있던 11월10일, 서울역에 있는 제로웨이스트 숍 ‘알맹상점’에서 조천호 박사를 만났다. 세계에서 가장 큰 기후회의인 COP27을 두고 ‘그린워싱’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던 때였다. “요란스럽게 행사를 해도 결국 달라지는 게 없다는 걸 시민들이 알게 된 거다. 주최국인 이집트는 정치범 인권 문제에 침묵하고, 기후활동가들을 배척하고 있다. ‘친환경’을 내건다고 무조건 환영하지 않는다는 건 시민들의 달라진 기후 감수성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조천호 박사는 민주주의의 수준이 기후위기 대응의 수준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또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물었다.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책은 어떻게 보나? 대표적인 게 원자력발전소를 늘리겠다는 거다.
반면 기후위기는 숱한 예고가 나온 다음, 뒤늦게 엄청난 파급력을 가진 사건이 발생한다. 즉 과학자들의 예고와 언론의 보도를 통해 시민들이 노력해서 깨닫고, 지성으로 인식해야 하는 독특한 성격의 위험인 거다. 지금 기후위기 심각성은 어느 정도일까? 기후위기와 관련해 가장 신빙성 있는 과학적 결과물은 IPCC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모든 기후과학자들이 합의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보수적인 결과물이기도 하다. 자연의 특성 중 하나인 ‘급변성’을 제외하고 계산했다. 예를 들어 빙하가 겉면부터 천천히 녹는 건 과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빙하가 언제나 그렇게 녹는 건 아니다. 위성으로 빙하지대를 관찰하면 이미 여기저기 금이 가 있다. 사탕을 입 안에 넣고 굴리면서 녹이면 오래가지만 깨트려 먹으면 표면적이 늘어나 금방 녹아버리듯이, 빙하도 깨지기 시작하면 더 빠르게 녹는다. 빙하가 깨지는 건 비선형적 사건이라서 언제, 어디서, 어떻게 깨질지 예측할 수 없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추운 환경이 내 몸에 미치는 영향 - BBC News 코리아따뜻한 생활: 추운 환경이 내 몸에 미치는 영향 '낮은 온도에서는 면역 반응이 무뎌져 코 안에서 바이러스가 더 잘 자랄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살구색 그 옷 벗었다…야쿠르트 아줌마 옷 힙하게 바뀐 이유 | 중앙일보유니폼을 바꾼 건 회사 미래 비전을 담은 일종의 상징이라고 합니다.\rhy 야쿠르트 유니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사IN〉 저널리즘 콘퍼런스2022 〈시사IN〉 저널리즘 콘퍼런스는 기후위기 시대, 언론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묻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재벌 손에 죽은 송중기, 재벌가의 미래 될 수 있었던 비결재벌 손에 죽은 송중기, 재벌가의 미래 될 수 있었던 비결 재벌집_막내아들 이정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반 독감 백신으로 미래 팬데믹에 대항할 수 있다 - BBC News 코리아팬데믹: 일반 독감 백신으로 미래 팬데믹에 대항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성공적인 코로나 백신과 동일한 mRNA 기술을 사용한 동물 실험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달노동자들, 28일 한국-가나전도 쿠팡이츠 배달 거부한다쿠팡이츠공동교섭단 “프로모션 풀 자금으로 삭감된 기본배달료 인상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