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까지 적발 금융사고 가장 많은 은행은 KB국민은행 내부통제 강화 숙제로 남아
내부통제 강화 숙제로 남아 금융권에서 금융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3분기까지 가장 많은 금융사고가 발생한 은행은 KB국민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잇따른 금융사고 영향으로 은행권에서는 내부통제 강화 문제가 가장 시급한 현안으로 부각되는 중이다.
14일 각사 분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19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분기 보고서에는 금융사고가 인식된 시점 기준으로 기재하게 돼 있어 최근 금융감독원 정기 검사에서 발견된 총 147억원 규모의 3건의 금융사고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올해는 은행권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더 많은 금융사고가 났다. 주요 시중은행 7곳에서 지난해 42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했지만 올해는 65건으로 불어났다. 이중 농협은행은 10건이 늘어나며 가장 증가 폭이 컸고 국민은행, SC제일은행, 우리·기업은행 순으로 많이 늘었다.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오히려 2건씩 줄었다.
한편 은행권에서 발생한 고객 민원은 KB국민은행이 가장 많았다. 올해 총 184건의 민원이 있었다. 다만 고객 민원의 경우 이용 고객이 많을수록 늘어나는 경향이 있어 리딩뱅크 자리를 수성하고 있는 KB국민은행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민원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나은행이 151건, 농협은행이 148건, 우리은행이 146건, 신한은행이 137건이었다.이처럼 배임과 횡령 등 금융사고가 잇따르면서 은행권에서는 내부통제 강화 문제가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지도 하에 책무구조도를 제출했고, 조직 개편 등을 통한 내부통제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부당대출 및 횡령 이슈로 홍역을 앓았던 우리은행은 새 은행장 취임 후 단행하는 첫인사에서 조직 간소화와 부행장 숫자 감축에 나선다. 빠르게 변화하는 금융시장에 기민하게 반응하기 위해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다. 국민은행도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를 위해 여신 프로세스와 관련 제도를 보완하고, 임직원 대상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둔촌주공 예비 오너들 숨통 트이나…잔금 대출이자 가장 낮은 은행은4.8%서 4.5%로 낮춰 타 시중은행 동참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근 5년, 동네 지점 가장 많이 사라진 은행은?'은행의 경영 효율화 측면뿐만 아니라 금융 접근성 보장 등 사회적 책임을 균형 있게 고려한 점포 운영 전략이 필요.' 오늘(26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은행 점포 폐쇄 현황 및 향후 과제' 자료 중 한 대목입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 구성원과의 공생을 위한 기업의 책임 의식을 말하죠. 지점 폐쇄는 해당 은행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겁도 없네, 당근에서 달러를 산다고?”...외화 중고거래 급증한다는데환율급등에 달러·엔 거래 늘어 플랫폼서 자체 규정 만들기도 당근 “천달러 이상 거래 안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싼 아파트 찾아 주말마디 임장”…서울 아파트 거래 절반 이상이 33평·9억 이하‘노원 동대문 구로’ 지역에서 거래 많아 특례대출 활용 9억 이하 거래 증가 전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탄소배출권 시장, 세계에서 가장 싼 가격으로 거래한국의 탄소배출권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싼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 국내 배출권 가격은 1만1100원에 이르며, 이는 유럽연합(EU) 배출권의 약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 현상의 원인으로 정부의 느슨한 정책과 과잉 할당 등이 지적된다. 이러한 상황은 수출 기업들에게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탄소 저감 투자 결정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줄어드는 은행점포 …'AI 지점' 나오나당국·은행권 공동TF 출범우체국 활용 등 대안 모색나서신한銀, AI행원이 업무처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