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양 중”이라던 북 우주발사체 잔해, 다시 물 속에 가라앉았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인양 중”이라던 북 우주발사체 잔해, 다시 물 속에 가라앉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8%
  • Publisher: 51%

군이 지난 31일 북한 우주발사체의 일부를 해상에서 발견했지만 온전하게 건져내지 못하고 다시 해저로 가라앉은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합동참모본부가 31일 어청도 서방 200여 Km 해상에서 인양한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를 공개했다. 합동참모본부 제공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1일 “어제 식별한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동체 일부를 인양하기 위해 작전을 진행 중”이라며 “동체 길이가 약 15m고 직경이 2~3m로 꽤 무겁다”고 밝혔다.

군은 전날인 지난 31일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뒤 약 1시간30분 뒤인 오전 8시5분쯤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서 동체 일부를 발견해 인양 작업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합참은 동체가 바다 위에 떠있는 상태여서 빠르게 식별할 수 있었다며 잔해의 사진 5장을 공개했다. 그러나 당시 이 동체를 구조함정 옆에 붙이기는 했지만 공중에 띄우지는 못해 다시 물 속으로 가라앉았다는 사실을 하루가 지나서 발표한 것이다. 합참 관계자는 “동체 길이가 약 15m고, 현재 수심 75m 깊이 해저 바닥에 수평으로 누워진 상태”라며 “ 엄청 크다. 어제 보인 부분은 작았고 물 밑에 잠긴 부분이 더 있었다. 인양 작업 중에 다시 밑으로 가라앉았다”고 했다.

현재 수상함 구조함인 통영함과 광양함이 현장에서 인양 작업 중이며 잠수함 구조함인 청해진함도 합류하기 위해 이동 중이다. 다만 이날 안으로 인양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합참은 “어제부터 우리 해군의 잠수 인력을 투입해 인양 작전을 실시하고 있으나 해역의 수중 시야가 안 좋고 수중에서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되는 등 제약사항이 있다”며 “여러 안전 요소를 고려하여 포화 잠수가 가능한 잠수함 구조함을 추가 투입하여 작전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거된 잔해는 1단 로켓과 2단 로켓을 잇는 연결단으로 추정된다. 합참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동체 표면에 빨간색으로 ‘점검문-13’이라고 적혀있고 아랫부분은 충격 탓에 찌그러져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軍, 잔해물 일부 인양...北 고도화된 ICBM 기술 베일 벗나?軍, 잔해물 일부 인양...北 고도화된 ICBM 기술 베일 벗나?軍, 北 우주발사체 ’천리마-1형’ 일부 잔해 인양 / 인양 부품, 연료통 혹은 1∼2단 연결 부위 추정 / 추락 수심 70m∼80m, 핵심부품 수거 여부 관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우주발사체 수색 이틀차…정찰위성 '만리경' 찾아낼까 | 연합뉴스북한 우주발사체 수색 이틀차…정찰위성 '만리경' 찾아낼까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군은 1일 북한이 쏜 우주발사체 낙하지점에서 이틀째 잔해 수색·인양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12:3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