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우주발사체 수색 이틀차…정찰위성 '만리경' 찾아낼까 | 연합뉴스

대한민국 뉴스 뉴스

북한 우주발사체 수색 이틀차…정찰위성 '만리경' 찾아낼까 | 연합뉴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4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북한 우주발사체 수색 이틀차…정찰위성 '만리경' 찾아낼까

찾아낸 부유물은 대형 원통형 물체로 1단 로켓과 2단 로켓을 연결하는 용도인 것으로 군은 추정하고 있다.북한은 전날 오전 6시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발사체 1발을 발사했으나, 비정상적으로 비행한 끝에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낙하했다.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 30분만인 전날 오전 8시 5분께 부유물을 발견했다. 지난달 29일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직후부터 함정 여러 척을 낙하 예상 해역에 출동시켜 대기시켰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군 관계자는"부유물이 원통형이라 인양에 필요한 줄을 매달기 쉽지 않다"며"부피가 크고 무거워 훼손하지 않고 온전히 끌어올리는 데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설명했다.군은 2012년 12월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로켓 은하 3호 잔해가 서해상에 떨어졌을 때 이를 빠짐없이 건져낸 전례로 볼 때,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위성이 수거된다면 북한의 위성기술 수준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2012년 인영된 은하 3호는 분석 결과 한국산 반도체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전하결합소자 카메라와 전선, 전자기 방해 필터는 중국산이었으며, 구소련과 영국, 스위스에서 만든 부품도 있었다.

당시 해군은 군산 서방 160㎞ 해상에 떨어진 산화제통과 연료통, 엔진잔해 등 1단 추진체 잔해 14점을 정확히 탐지, 7차례의 심해 잠수로 모두 인양하면서 '사막에서 바늘 찾기'로 여겨졌던 잔해 인양작전을 완수했다.군은 인양과 수색 작업을 완료하면 수거물을 국방과학연구소 등에 보내 북한 추진체와 군정찰위성의 성능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일부를 해상에서 인양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 2023.5.31 [합동참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北위성 궤도 진입은 단 2번…이마저도 정상작동 안해(종합) | 연합뉴스北위성 궤도 진입은 단 2번…이마저도 정상작동 안해(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31일 오전 1단 분리 후 서해상에 추락한 정찰위성 '만리경 1호'는 북한이 발사 사실을 공개한 여섯 번째 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보] 북, 남쪽으로 우주발사체 발사…정찰위성 탑재 추정 | 연합뉴스[3보] 북, 남쪽으로 우주발사체 발사…정찰위성 탑재 추정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북한이 31일 남쪽 방향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5:4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