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스마트스쿨,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 관광사업체 창업지원사업. 저출생과 무관한 저출생 대응 예산들이다. 지난해 집행된 저출생 대응 예산 중 절반이 저출생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8년간 380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저출생 대응을 위해 쏟아부었지만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을 기록하고 있는 정부 정책의 ‘민낯’이다. ‘백화점’식이던 저출생
예산의 전면 재구조화를 통해 최적의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수지 국회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학교 단열성능 개선, 태양열 설비 설치지원 목적으로 저출생과 연관성이 없는 그린스마트스쿨 사업이 2021년, 2022년 저출생 사업으로 분류돼 2조1000억원이 저출생 예산으로 잡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영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재정연구 센터장은 “범부처 사업을 취합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업 기획부터 성과 제고, 재정 운용까지 사업 운용 전반을 책임지는 중앙정부 차원의 거버넌스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尹 “반도체가 곧 민생이자 국가총력전”…26조 지원 신설·稅공제 연장2차 경제이슈점검회의서 강조 대규모설비투자 금융지원 17조 팹리스·소부장 육성 1조 펀드도 “고용 늘고 中企 혜택보는 정책” 일각 대기업 감세 비판 반박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D 확충’ 지시받은 기재부···작년 예산 ‘31.1조→29.3조’ 말 바꾸기 논란내년도 예산 편성 작업을 진행중인 기획재정부가 재작년 연구·개발(R&D) 예산 규모를 두고 말을 바꾸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2023년도 R&D 예산을 31조1000억원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난해 논란 일었던 대구시 공무원 골프대회, 오는 25일 또 열려대구시 골프동호회 주최로 46팀 148명 참가, 대구시 지원 예산 비공개에 "떳떳하게 임하라" 비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질병청장 '국산 mRNA 백신 개발, 미래 팬데믹 200일 내 잡는다'2027년까지 국산 mRNA 백신 개발... "국내 유망기업에 범정부 R&D 예산 집중 지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영업자 대출 1113조...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다중채무액 690조, 절반 넘어... '성실 상환자 대상 채무재조정' 등 필요성 제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민아 칼럼]여성은 아이 낳는 기계가 아니다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여성의 몸, 그리고 저출산’이라는 칼럼을 썼다. 저출산 문제는 여성의 선택을 압박하거나 국가주의 이데올로기를 동원해 해결될 일이 아니라고 지적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