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은 우리가족”…반려인구 1500만 육박 사후처리 방식은 인식 못 따라가…시설도 부족 상조업계, 상조서비스 반려동물에도…“가입자 꾸준”
상조업계, 상조서비스 반려동물에도…“가입자 꾸준” 12년째 반려견을 키우는 A씨는 반려견 ‘요미’를 ‘우리 아이’라고 부른다. 아이가 무지개 다리를 건널 것이란 생각을 해 본적은 없지만 점점 나이가 들어가는 아이를 보며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다. A씨는 “10년 넘게 함께 한 아이가 어느 날 하늘나라에 간다면 너무 마음이 아플 것”이라며 “떠날 때 최대한 배려를 해주고 싶다”고 말했다.하지만 특히, 반려동물이 죽은 후 사후처리 방법에 대한 논의나 사회적 인식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27일 지자체, 상조업계 등을 중심으로 반려동물 화장시설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반려동물 사체를 쓰레기봉투에 담아 폐기물로 처리하는 방식이 1500만 반려인들의 인식과 거리가 먼 데다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한 반려동물 장례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양육 인구는 1500만명으로 추산된다.
보람상조의 경우 사람의 생애주기와 동일한 사업 카테고리 적용이 가능한 점을 착안해 반려동물 장묘 사업에 반려인들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오는 8월이면 펫 사업 진출 1년을 맞을 정도로 선도적으로 이 시장에 뛰어 들었다. 보람상조는 반려동물 전용 장례 상품 ‘스카이펫’ 총 4종을 출시했다. 최고가 상품은 480만원으로 가입자가 꾸준하다고 한다. 보람상조 관계자는 “펫 전용 관이나 유골함, 최고급 수의, 액자 등을 제공한다”며 “반려동물의 털이나 발톱, 유골 등 생체원료를 혼합해 세상에서 유일한 보석으로 제작한 비아젬을 오마주나 주얼리 형태로 만들어 반려동물을 항상 기억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고 말했다.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반려동물 장례 전문 기업 21그랩그룹과 함께 ‘프리미엄 반려동물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입 상품에 따라 고급 수의, 고급 오동나무관, 백자 유골함 등을 제공한다. 현재 반려동물 장묘 서비스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장례식장 전국망 구축이 손꼽힌다.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반려동물 장례, 화장, 봉안 등을 취급하는 장묘 업체는 전국에 70여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국망이 갖춰지지 않으면 반려인 거주 지역과 거리가 먼 곳에서 장례를 치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기 때문인데,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업계 안팎에서 높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십자가에 손발 묶여 총살되는 순간 생생…독립운동가 희귀사진 첫 공개대만 작가 쉬충마오 사진집 출간 안중근 권총·항일의사 총살 등 흑백에 컬러 입힌 390점 담아 “흑백사진은 과거에 머물러도 컬러 입히는 순간 현재가 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최대 백화점 ‘더 현대’가 아니네”...강남에 맛집으로 2개층 꽉 채운 ‘이곳’신세계 강남점 ‘하우스오브신세계’ 최초 입점 레스토랑만 12곳 400평 최고급 와인 전문관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참견 말라'는 중학생 아이, 그 덕에 어른도 배웁니다[반갑다 사춘기] 전두엽과 편도체를 다 공부하게 됐다, 아이 사춘기 덕분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논산에 들어설 산모와 신생아 힐링 공간 첫 삽공공산후조리원 기공, 아이 낳아 기르기 좋은 도시로 발돋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동주에 가려진 학자 정병욱 선생, 세상에 드러내야'남해가 낳은 대학자 정병욱 선생을 기리는 사람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개, 흑염소 그리고 몸보신개가 사라져가는 자리에 흑염소를 키우는 마을 사람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