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학기를 앞두고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필통, 연필 등 학용품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절반에 가...
서울시가 신학기를 앞두고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필통, 연필 등 학용품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7개 제품에서 납, 카드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27일 밝혔다.수첩과 볼펜이 한 묶음인 ‘수첩세트’ 1개 제품에서는 납, 카드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모두 국내 기준치를 초과했다. 특히 볼펜심에서는 납이 국내 기준의 231배, 수첩 표지에서는 카드뮴이 5.6배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92.2배 초과 검출됐다. 수첩 표지 안쪽 투명필름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1.5배 초과 검출됐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암 발생 위험도도 높아질 수 있다. 임신 중 납에 노출되면 태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아이의 학습과 행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간과 신장에 축적되는 발암성 물질인 카드뮴은 뼈에 이상을 일으키거나 호흡계, 신경계, 소화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물질로 정자 수 감소, 불임, 조산 드 생식기능에 악영향을 끼친다. 디에틸헥실프탈레이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이다. 연필, 연필깎이, 지우개 한 묶음인 ‘연필세트’는 연필 필름 부위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기준의 28.4배 초과검출됐다. 구부러지는 연필에서도 플라스틱 부위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111.5배 초과검출됐다. 연필 끝에 달린 지우개에서도 5.2배 초과검출됐다. 나머지 다른 색 연필에서도 납, 유기주석화학물 등이 다량 검출됐다.산리오 캐릭터가 있는 어린이용 가죽필통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카드뮴이 다량 검출됐으며, 어린이용 실로폰에서조차 페인트칠이 된 부위에 바륨이 국내 기준의 3.4배 초과검출됐다.
서울시는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검사를 확대하고, 다음 달에는 어린이 섬유제품을 비롯해 저가로 판매되는 운동화, 선글라스 등 해외직구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생활용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 질문에 답하다가 깨달은 내 내면의 어린 아이'엄마, 나 이거 다 못 외우면 어떻게 되는 거야? 그럼 어떻게 해?' 며칠 전 영어단어를 외우던 아이가 엄마인 내게 물었다. 단순한 평가이지만 아이에게는그 결과가 매우 중요한 모양이었다. 가정과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학습된 결과물일 것이다. 가정에서 보는 쪽지 시험이기에, 나는 당연히 대수롭지 않게 말했다. '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발 관세전쟁 반사이익…값싼 '캐나다 원유' 한국 오나미국이 캐나다산 원유에 관세를 부과하면 해당 원유 중 일부가 아시아로 넘어오며 가격이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주영규 SK에너지 경영기획실장은 지난 6일 콘퍼런스콜에서 '기회에 따라 캐나다산 원유를 도입할 예정'이라며 '캐나다산 원유 일부가 아시아로 넘어와 공급 증가로 이어지면 저렴한 원유를 도입할 수 있어 우리에게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같은 날 조진호 HD현대 상무 역시 콘퍼런스콜에서 '캐나다산 원유에 대한 관세 부과는 정유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며 '캐나다산 원유가 글로벌 시장에 풀리면 우리와 같은 중질유(무거운 원유)를 원하는 회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도 얼굴값 해볼까”…이젠 결제도 안면인식으로 하는 시대슈퍼·대형마트·백화점 등 유통업계 확대 적용 전망 생체 정보 유출 등 우려도 토스 “보안체계 고도화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韓기술자 개발능력 충분 … 쉽게 접근 가능한 AI인프라 구축을AI산업 지각변동고성능 컴퓨팅·GPU 등 태부족아이디어 구현시킬 장비 절실韓제조업 생태계에 AI 접목해설계·공정 등 사업모델 고도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환경부, 낙동강 녹조 독소 검출 결과 반박, 환경단체 비판낙동강 네트워크 등 환경단체가 낙동강 녹조 지역 주민 콧속에서 마이크로시스틴 검출 결과를 발표한 데 대해 환경부는 공기 중 조류 독소 검출 없음을 근거로 반박했습니다. 환경단체는 환경부 주장을 비과학적 억지로 규정하며 녹조 문제에 대한 환경부의 부정확한 정보 전달을 비판하고 공동 조사를 요구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방소멸 경고등] 제주 주말돌봄 '꿈낭'…맞벌이 부부에게 가뭄의 단비(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마음 놓고 아이 낳아 키울 수 있는 사회, 어떻게 안 될까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