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예산 기준으론 55% 지출 “선거 의식해 조기집행 남발” 비판 정부 “신속예산 비중 크지 않아...여력 충분”
정부 “신속예산 비중 크지 않아...여력 충분”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올 상반기 신속집행 예산을 연간 계획 대비 64%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예산 대비로는 55%에 해당하는 규모다. 경기방어의 한축인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되는 가운데 재정 ‘실탄’마저 부족해지는 상황이 우려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재정투입에도 건설 경기 등이 여전히 바닥을 기면서 정부가 내수부양의 처방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상반기에 신속집행 예산 중 357조5000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연간 신속집행 예산 계획 대비 63.6%에 달하는 규모로, 전년대비 19조2000억원 늘어난 규모이기도 하다. 지난해 상반기 신속집행예산 집행률 보다도 2%포인트 더 높다. 연간 예산 중 절반 이상을 이미 상반기에 집행했다. 정부가 상반기에 특히 재정을 집중 투입한 곳은 ‘중점관리 대상’ 사업으로 불리는 약자복지·일자리·사회간접자본 사업이다. 중점관리 대상 사업에 할당된 109조5000억원 예산 중 상반기에만 74조3000억원 사용해 67.9%를 이미 집행한 상황이다.전문가들도 하반기에 지출여력이 줄어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 우석진 명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상반기 건설 투자가 늘었던 것은 정부가 재정을 과하게 투입해서 만들어낸 숫자”라며 “하반기에는 지출 여력이 떨어져 경기 회복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나원준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는 하반기 경기를 낙관하고 있지만 내수 부진과 경기침체는 지속되는 추세”라며 “경기를 진작시키기 위해 추경예산 편성 등 기타 고강도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최상목 부총리는 주요 20개국 재무장관회의 등 참석차 방문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민생 현안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최 부총리는 “우리 경제는 수출 중심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 경제 전반으로 온기가 확산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하반기 공공부문 15조원 추가 투융자 등 건설투자 보강 과제를 신속히 마련하고 건설업 고용지원 방안을 8월 중에 발표할 것을 주문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채 말고는 돈 빌릴 곳도 없어요”…‘4중고’ 사장님들 결국 가게 닫는다올들어 대위변제 1조원 훌쩍 대출연체도 11조원 첫 돌파 내수 부진에 ‘알테쉬’ 공습 고금리에 빚더미 더 커져 소강공인 부실·폐업 현실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름휴가, 이보다 화끈할 순 없다”…더 뜨거워진 서울 특급호텔 ‘풀 파티’프라이빗 풀에서 아티스트 공연까지 신라·드래곤시티·반얀트리 격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타선 약점' 삼성, 외국인 타자가 계륵?[KBO리그] 상승세 꺾인 삼성, 장타력 떨어지는 맥키넌이 고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수 회복이냐 아니냐…엇갈린 정부·KDI3개월째 시각차 드러내정부 '내수 회복 조짐'KDI '개선세 다소 미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허찔린 낙관론5월 산업활동 동향10개월만에 동반부진정부 '6월엔 소비 반등'방심한 사이 내수 무너져설비투자 4% 넘게 감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리동결 계속땐 경기위축 못막아 인하 서둘러 쪼그라든 소비 살려야통화정책 불확실성 내수 부진금리효과 1년 내외 시차 존재경기방어위해 선제 조치 필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