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추 한장에 180원꼴이라 아내에게 ‘고기 세 점당 상추 한 장씩 먹어야 할 판’이라고 우스갯소리를 했다” 지난 달 이어진 집중호우 탓에 시금치·상추 등 채소 도매가격이 한 달 만에 2배로 폭등하는 등 밥상 물가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장마 끝 닥친 폭염과 이어질 태풍도 변수로 1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전통시장을 찾은 시민이 오이를 구매하고 있다. ‘극한 호우'에 이어 폭염이 지속되면서 농식품을 중심으로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7월 장마에 이어 8월 폭염, 9월 태풍 시즌까지 당분간 기상 악재가 이어져 가까스로 안정화 국면에 접어든 물가를 자극하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에 사는 이아무개씨는 최근 동네 마트에서 삼겹살에 곁들여 먹을 채소를 구매했다가 깜짝 놀랐다. 한 봉지에 3500원이나 하는 상추를 사와 씻었더니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에 20장밖에 안됐기 때문이다. 이씨는 “상추 한장에 180원꼴이라 아내에게 ‘고기 세 점당 상추 한 장씩 먹어야 할 판’이라고 우스갯소리를 했다”며 “매일 35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계속되는 터라 가뜩이나 비싼 채소 가격이 더 오를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시금치 도매가격은 4만7920원으로, 한 달 전에 비해서는 115.9%, 1년 전보다는 30.9% 올랐다. 오이 도매가격 역시 6만550원으로 한 달 전보다 17.0% 올랐고, 대파는 2522원으로 한 달 전에 견줘 23.4% 상승했다. 미나리는 6만6833원으로 한달 전보다 114.6% 올랐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0.5% 하락했지만, 채소류는 집중호우 영향으로 전월 대비 7.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농산물 가격이 지난달 말보다는 소폭 하락하는 추세지만, 장마 이후 닥친 폭염과 다음달 이어질 태풍 등으로 다시 오를 가능성이 크다. 축산물 중에는 닭고기 가격이 1년 전과 비교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축산유통정보를 보면, 지난달 닭고기 소매가격은 ㎏당 6352원으로, 지난해 7월에 견줘 12.0% 높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나도 덥다곰'…야생곰, 폭염에 주택가 수영장서 물놀이찜통더위엔 역시 물놀이만 한 게 없죠.사람만 이 사실을 아는 게 아닌가 봅니다.한 달 넘게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미국에선, 더위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학원, 전국의 17%인데 사교육 카르텔 신고는 70% 몰렸다정부가 사교육과 수능 출제 체제 간 유착관계를 ‘사교육 이권 카르텔’로 규정하고 대대적으로 점검에 나섰지만 수도권의 일부 대형 입시학원 문제만 부각시켰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종시교육청, 전국 최초 ‘학교변호사’ 운영…전국에서 교권 보호 대책 마련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교사의 극단적인 선택 이후 전국 교육청에서 교권 보호를 위한 대책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늘 이슈] 현직 특수교사, 주호민 향해 “금도 넘었다, 사과해라”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교내에서 숨진 이후 교권 침해에 대한 국민적 공분이 날로 커지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