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로만 김장 담그나”…무·쪽파 등 속재료 가격폭등에 속타는 서민들

“배추로만 김장 담그나”…무·쪽파 등 속재료 가격폭등에 속타는 서민들 뉴스

“배추로만 김장 담그나”…무·쪽파 등 속재료 가격폭등에 속타는 서민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61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8%
  • Publisher: 51%

서울 여의도에 사는 주무 최모씨(58)는 정부가 배춧값 등 김장물가 안정에 나섰다는 소식에 한시름을 놓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주말 김장을...

김장철을 앞둔 18일 서울시내 한 전통시장에 놓인 배추 위에 5만원권이 얹어져 있다. 정효진 기자

서울 여의도에 사는 주무 최모씨는 정부가 배춧값 등 김장물가 안정에 나섰다는 소식에 한시름을 놓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주말 김장을 앞둔 그는 애를 태우고 있다. 막상 김장을 준비하려고 최근 전통시장을 찾았는데 선뜻 지갑을 열 수 없었다. 김장 속재료인 무는 물론 쪽파와 생새우 등 가격이 폭등했기 때문이다. 최씨는 “배추만 갖고 김장을 하는 게 아닌데 꼭 필요한 김칫속 가격이 무섭게 오르고 있다”면서 “생새우는 물론 생굴 값도 갑자기 너무 올라 결국 빈손으로 돌아왔다”고 말했다.18일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으로 전통시장에서 배추는 지난해 8만원에서 올해 10만원으로 25.0% 올랐고, 무는 1만5000원에서 3만원으로 2배가 됐다. 쪽파는 1만2000원에서 2만원으로 66.67%, 총각무는 1만2000원에서 1만3500원으로 12.50% 비싸졌다.

문제는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속재료 가격이 연일 치솟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 일원동에 사는 김모씨는 송파구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을 찾았다가 속이 타들어갔다. 불과 며칠 전만 해도 생새우 1㎏에 2만원, 쪽파 1단에 3000원이었는데 생새우는 600g에 4만원, 쪽파는 1단에 5000~6000원까지 폭등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절임 배추도 20㎏에 4만원이 넘고 있는데 김장 걱정하지 말라는 정부 발표를 믿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아들딸네 집에 김장 한 포기를 해주기도 버거워 올해는 김장을 포기해야 할 같다”고 말했다. 대형마트를 찾은 주부들의 발걸음도 무겁다. 최근 사전예약으로 절임 배추 20㎏을 2만원대에 팔았지만 지금은 품절 상태인 데다 온라인몰에서도 3만원대 후반~4만원대에 내놓고 있어서다.

김장을 포기하고 포장김치를 사먹고 싶어도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포장김치의 경우 이미 지난여름부터 가격이 크게 오른 데다 특가상품은 조기 품절되는 경우가 많아서다. 서울 성북구에 사는 이모씨는 “청량리 도매시장도 채소 값이 너무 비싸 6개월 넘게 대파와 양배추로 김치를 대신해 먹었다”면서 “유통기한이 임박한 신선식품 할인코너에서 시든 채소를 고르는 처지가 씁쓸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물가정보가 발표한 올해 4인가족 김장비용은 전통시장의 경우 33만1000원으로 지난해 김장철보다 10.13% 뛰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대형마트 김장비용 역시 39만9430원으로 지난해 36만6360원보다 9.03%나 올랐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배추로만 김장 담그나” 무·쪽파 등 속재료 가격폭등에 속타는 서민들“배추로만 김장 담그나” 무·쪽파 등 속재료 가격폭등에 속타는 서민들서울 여의도에 사는 최모 주부(58)는 이번 주말 김장을 앞두고 애를 태우고 있다. 역대급 폭염으로 채소가격이 급등했다지만 정부가 배추값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김장철 본격화되는 11월 이후 공급 안정 전망'[현장영상+] '김장철 본격화되는 11월 이후 공급 안정 전망'[앵커]정부와 여당이 본격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 채소 가격 안정을 위한 대응책을 논의했습니다.배추와 무 등 14가지 김장 재료의 공급 안정과, 소비자를 위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추·무, 10월에 50% 올라…'이달 중순 김장철 평년 수준'배추·무, 10월에 50% 올라…'이달 중순 김장철 평년 수준'(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김장철을 앞둔 지난달 김장 재료인 배추·무 가격이 작년 같은 달보다 50%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월 물가 상승률, 3년 9개월 만에 최저치···‘배추·무’ 김장 물가는 고공행진10월 물가 상승률, 3년 9개월 만에 최저치···‘배추·무’ 김장 물가는 고공행진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휘발유·경유 등 석유류 가격이 1년 전보다 10% 넘게 하락한 영향이 컸다. 다만, 배추와 무 등 채소류 가격은 50% 넘게 오르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통계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9는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2021년 1월(0.9%) 이후 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번주뭘살까] 백화점 마지막 정기세일…마트 김장 기획전[이번주뭘살까] 백화점 마지막 정기세일…마트 김장 기획전(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주요 백화점은 올해 마지막 정기세일에 돌입했고 대형마트들은 배추와 무 등 김장재료 기획전을 벌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보험사 단기납종신 위험 반영확대…사업비 과다집행 제재보험사 단기납종신 위험 반영확대…사업비 과다집행 제재(서울=연합뉴스) 이율 기자=올해 연말 결산부터 보험사들의 K-ICS(신지급여력제도) 비율 산출 시 단기납 종신보험 등 무·저해지환급형 상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8 04: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