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미산학교의 성소수자 학생 모임인 ‘무운’이 활동을 시작한 뒤 학교엔 작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국제앰네스티·〈한겨레〉 협업기획 ‘미워해도 소용없어’
⑥성미산학교 성소수자 인권 모임 ‘무운’ ‘미워해도 소용없어.’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가 지난해 5월17일 ‘성소수자 혐오 반대의 날’을 맞아 내 건 문구다. 해당 문구는 같은 해 퀴어퍼레이드에서도 사용되며 성소수자와 앨라이 공감과 반응을 끌어냈다.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는 올해 ‘미워해도 소용없어 2023’ 캠페인을 시작한다. 지난해 캠페인이 혐오와 차별에 대항하는 성소수자·앨라이의 모습을 보여줬다면 이번에는 자신을 긍정하며 현재를 살고 있는 모습에 주목한다. 〈한겨레〉도 이 캠페인에 동행했다. 시리즈는 17일까지 총 6차례 계속된다. 성미산학교 성소수자 인권 모임 ‘무운’ 회원인 똘추와 노랭, 마농, 이응이 웃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제공 ‘퀴어 가시화 활동을 하자!’ 2018년, 성미산학교 8학년에 재학 중이던 ‘똘추’와 친구 둘이 뭉쳤다.
나이에 상관없이 별명을 부르기로 한 것이다. 덕분에 2019년부터 성미산 학교에는 형, 누나와 같은 호칭이 사라졌다. 이성애를 전제로 한 ‘남자친구’나 ‘여자친구’라는 표현 대신 ‘애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문화도 자리 잡혔다. 무운 회원들은 소수자를 이해하는 무운의 활동이 이런 변화를 이끌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인터뷰 내내 ‘부모님’이라는 말 대신 꼬박꼬박 ‘양육자’라는 단어를 썼다. ‘부’와 ‘모’로 이뤄진 이른바 ‘정상가족’을 기본값으로 말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무운 회원 이응은 “한국 사회에서 고등학생이라면 입시를 열심히 해야 하고 대학에 가고 좋은 곳에 취직해야 한다는 ‘정상루트’들이 있잖아요. 대안학교 학생을 신기하게 생각하고 다른 것으로 취급하는 사람들이 있죠. 하지만 제도권 밖에도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무운의 활동은 학교 안에서만 그치지 않는다. 2020년, 성미산마을 주민 50여명을 대상으로 ‘퀴어 설문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동성커플 ‘은초비’ 덜덜 떨며 부모님 보던 날…“이번 생은 성공”“(정식으로 인사를 하던 날) 엄마가 초현이에게 ‘얼굴을 보니까 마음이 놓인다, 딸과 만나줘서 고맙다’고 했어요.” 당시를 떠올리며 김씨의 눈이 촉촉해졌습니다. 🔽국제앰네스티·〈한겨레〉 협업기획 ‘미워해도 소용없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태양, 아들 유모차 끌며 ♥민효린과 가족 산책…안전바 잡은 작은 손가수 태양이 아내인 배우 민효린, 어린 아들과 함께 하는 소소한 일상을 공개했다. 16일 태양의 유튜브 채널에는 '태양 [Down to Earth] 다큐멘터리 필름 PART 2'라는 제목의 영상이 게재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북 교육·시민사회단체 '단재고 2024년 정상개교' 촉구17일 기자회견·성명서 통해 의견 발표 "교육감 바뀌어도 교육의 본질은 바뀌지 않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글로컬대학'이 키운 '통합 반대' 논란윤석열 정부 '글로컬대학'이 키운 '통합 반대' 논란 부산교대 글로컬사업 교육부 부산대 김보성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식 먹는 학생들 옆에서 10배 값 '특식' 먹은 국회의원들충북 국회의원들이 2,700원짜리 학식을 먹는 대학생들 옆에서 2만 8,000원짜리 특식을 먹은 사실이 알려져 공분을 사고 있다.MBC 충북에 따르면 지난 9일 김영환 충청북도 지사를 비롯한 충북 국회의원들과 주요 실무진 20명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충북학사 기숙사에서 열린 정책 간담회에 참가했다.참석자들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생들 카레 먹는데…칸막이 치고 장어·갈비찜 뜯은 의원들 | 중앙일보'21세기판 반상의 차별인가'\r도지사 국회의원 학생식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