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오늘] 2023년 3월3일 금요일 1. “몽유병 걸린 윤석열 정부” 중국 관영매체, 3·1절 기념사 비판 2. 이재명 “법원이 부당함 밝혀줄것” 3. 김건희 여사 ‘서면조사’ 무혐의…“증거불충분 납득 어려워”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중구 유관순 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관영 매체가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대해 한국의 외교 정책이 ‘몽유병 상태에 빠졌다’고 비판했다. 중국 관영 는 2일 온라인판에 올린 기사를 통해 일본을 안보 ‘파트너’로 규정하며 한·일 협력을 강조한 윤 대통령의 3·1절 기념사가 한국 내 여론의 역풍에 직면했다고 썼다. 신문은 “윤 대통령이 북한의 핵 위협과 세계적 여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말했다”며 “한국 대통령이 일본을 향해 이렇게 아첨하는 말을 한 것은 이례적이다. 미국과 일본의 일부 언론은 이를 일본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제스처라며 긍정적으로 해석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은 과거에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고 그 전략은 많은 이익을 가져왔다”며 “한국은 동북아의 복잡한 상황에서 중요한 플레이어가 되어야 한다. 관찰자들은 한국이 좀 더 안정된 행보를 하고, 미국의 볼모가 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지난해 5월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한국이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잡지 않고 미국에 경사된 외교를 한다는 불만을 키워오고 있다. 이에 더해 중국이 올 들어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한 뒤,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보복 조처를 주고받으며 상대국에 대한 감정도 크게 악화된 상태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달 27일 무력에 의한 대만 해협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박진 외교부 장관의 인터뷰에 대해 “대만 문제는 중국의 내정으로 타인의 말참견을 용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 몽유병 상태” 중 관영매체, 3·1절 기념사 비판중국 관영 매체가 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대해 한국의 외교 정책이 ‘몽유병 상태에 빠졌다’고 비판했습니다. 🔽 기사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몽유병 걸린 아첨'…중국, 3·1절 기념사 거친 비난보시는 것처럼 중국 오가는 길은 더 편해지고 넓어지게 됐지만 정치 상황은 다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삼일절 기념사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가 '몽유병에 걸렸다며' 거친 비난을 쏟아낸 건데 자세한 내용은 베이징 정영태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념사 논란' 지적에... 대통령실 '현명한 국민이 잘 판단할 것''기념사 논란' 지적에... 대통령실 '현명한 국민이 잘 판단할 것' 윤석열 대통령실 3.1절_기념사 유창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기미독립선언문에 담겼던 정신, 기념사에 고스란히 담겨'대통령실 '기미독립선언문에 담겼던 정신, 기념사에 고스란히 담겨' 대통령실 3.1운동_정신 기미독립선언문 3.1절_기념사 윤석열 유창재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식민사관 기념사'‥'물타기 방탄 국회'윤석열 대통령의 3·1절 기념사 파문은 이튿날인 오늘까지 이어졌습니다. 야당은 이완용과 다름없는 식민사관을 드러낸 기념사였다고 맹공했고, 여당은 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3·1절 기념사 비판 “죽창가” 치부한 정진석을사오적 이완용이 조선총독부 기관지에 쓴 글이 또 떠오르네요.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지난해 이를 연상케 하는 글을 써서 논란이 됐죠. 그랬던 정 비대위원장이 올해 3.1절 다음 날 이같이 말했습니다. ※소액후원으로 민중의소리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전화 1661-045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