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153개 시민사회단체가 국제 플라스틱협약 마련을 위한 국제회의 개최국인 한국 정부에 “개최국으로서 플라스틱 생산감축에 목소리를 내라”고 요구했다. 14일 그린피스,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플뿌리연대(‘플’라스틱 문제를 ‘뿌리’ 뽑는 ‘연대
지난달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플뿌리연대 회원들이 오는 11월23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 협약에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일 그린피스,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플뿌리연대는 36개국 153개 시민사회단체로부터 한국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촉구하는 연대 성명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문을 통해 “한국 정부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높은 야망 연합’의 초기 가입국이자, 제5차 협상회의 개최국이지만 지금까지도 협상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며 “플라스틱 생산 감축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에 응답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국제 플라스틱협약 협상을 위한 제5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는 다음달 25일부터 12월1일까지 부산에서 열린다. 협약의 핵심은 플라스틱의 전체 생애주기 가운데 가장 탄소가 많이 배출되는 ‘생산’ 단계에서 플라스틱 감축 여부다. 앞선 네 차례 회의는 감축을 옹호하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높은 야망 연합’ 국가들의 입장과, 폐기물 관리와 재활용 단계에 집중하자는 이란·사우디아라비아 등 산유국들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며 큰 진전없이 끝났다. 협약을 마무리해야 하는 부산 회의에 전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4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진행된 제4차 정부간 협상 위원회에선 1차 플라스틱 폴리머 생산감축에 동의하는 ‘부산으로 가는 다리’ 선언에 40여개국이 동참했다. 지난 8월엔 플라스틱 최대 생산국이자 산유국인 미국마저 플라스틱 생산 감축을 협약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연대성명에 참여한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러한 국제사회 흐름과 다르게 한국 정부의 생산감축에 대한 태도가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 네 차례 회의에서 한국 정부의 발언을 보면, 각 국가별 맥락을 고려한 현실성을 강조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며 “지난달 25일 유엔총회 장관급 부대행사에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생산 감축과 재사용을 비롯한 핵심 의제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나아가 한국은 ‘부산으로 가는 다리’ 선언에도 연명하지 않은 상태”라며 “한국이 본연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플라스틱 협약의 핵심은 ‘생산 감축’…정부 적극 나서야”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릴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마지막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를 앞두고, 회의 유치국인 우리 정부가 정작 협약의 핵심인 ‘생산 감축’에 소극적으로 임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지난 24일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의실에서 ‘국제 플라스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플라스틱 생산 감축’ 거북이걸음…중국·인도·산유국 반대 목소리“오타와에 도착한 순간부터 석유화학업계의 영향력은 분명했습니다. 공항과 도시 곳곳에 광고가 게시됐고, 업계 대표들이 (플라스틱협약 협상 회의) 행사장 주변에 포진해 있었습니다. 회의 때뿐만이 아닙니다. 최근 유럽 내 한 국가의 정부 대표와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는 시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안 앞둔 플라스틱 국제협약, 플라스틱 생산국 4위 한국 산업계 대응은?'일부 기업들은 (친환경 플라스틱) 기술이 완성됐는데도 비용 문제로 가동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 정광하 한국석유화학협회 연구조사본부장은 지난 25일 '제18회 ESG ON 세미나'에서 플라스틱 업계가 이같은 상황에 처해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날 세미나는 '플라스틱 전 생애주기 단계의 국제 환경규제'를 주제로 한국환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증환자 진료에 돈 더줘 상급병원 47곳 구조개선의료개혁에 5년간 30조 투입어린이 진료·응급의료센터는병상 감축 대상서 제외하기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재사고로, 혈액암으로 목숨 잃는 철도·지하철노동자들 “안전대책 내놔야”전국철도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 “정부·서울시, 무리한 인력 감축 철회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찬바람 불자 재계 인사에 쏠린 눈…조직개편·세대교체 폭 확대?(서울=연합뉴스) 한상용 장하나 강애란 기자=임원 20∼30% 감축, 조기 인사 단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