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외상·고열 등 경증환자 이용가능한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2곳 운영 24시간 외과 응급환자 진료 가능한 ‘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 4곳도 지정
‘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 4곳도 지정 휴일이나 밤 늦은 시간에 갑자기 몸이 아프거나 다쳐서 긴급한 진료가 필요하지만 경증 질환이라는 이유로 응급실 진료를 받기 힘들었던 환자들을 위해 긴급치료센터와 질환별 전문병원이 서울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25일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의료기관, 119구급대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야간·휴일 경증환자가 응급진료를 받을 수 있는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2곳과 ‘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 4곳의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센터는 치료에 필요한 검사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내원 환자와 119구급대 이송환자 등을 대상으로 최근 응급실이 방문이 많았던 경증환자질환인 외상, 급성기 질환 등을 중심으로 진료한다.‘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은 최근 의사 인력 부족, 배후진료과 공백 등으로 응급실 진료 제한이 많은 외상환자 대상 24시간 진료 병원이다. 올해 원탑병원, 서울연세병원, 서울프라임병원, 리더스병원 등 외과 계열 질환 전담병원 4곳을 시작으로 안과, 산부인과 등 타 질환에 대한 전담병원도 확대해 응급환자 적기 치료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서울형 질환별 전담병원’에는 365일 24시간 의사 1명 이상이 상주하며 외상 응급환자 진료 및 응급수술을 위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내원 환자나 119구급대 이송환자도 진료하게 된다.
진료받은 환자가 증상이 심해지거나 중증환자로 진단될 경우를 대비해 질환별 전담병원과 국립중앙의료원이 환자 중증도에 따라 상호 환자 전원이 가능하도록 ‘외상통합 네트워크’도 구축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24일 오후 9시 서울형 긴급치료센터로 지정된 ‘더건강한 365 의원’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았다. 오 시장은 “야간이나 주말에 갑자기 몸이 안 좋을 때에 찾을 수 있는 긴급치료센터를 전국 최초로 서울에서 양천구와 송파구에 마련했고, 앞으로 두 군데 더 만들어 권역별로 이용하실 수 있게 할 것”라며, “중증 환자를 위한 질환별 전담센터 4개소와 함께 긴급치료센터가 응급환자의 급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긴급치료센터의 효과를 살펴보면서 개수를 늘려 나갈지도 연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응급실 환자 60% 줄었다…환자들 어딘가에 방치돼 있는 것”...현장 교수의 증언고령화 따른 응급실 과밀화 문제도 심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응급실 대란’을 기록하다응급 진료를 받아야 할 환자들이 겪은 ‘응급실 뺑뺑이’ 사례를 기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을 달밤에 함께 걸으시겠소?부모님의 휴대전화 사진첩에 가득한 꽃 사진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산책을 좋아하는 엄마의 사진첩에는 늘 풍경 사진이 가득합니다. 같이 여행을 가면 사진기자인 저보다 훨씬 많이 사진을 찍으시니까요. 예전에는 그런 엄마를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포토 굿즈를 이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번아웃 위기 심장의사 “제발 중증 받지 말라' 응급실에 요청 [폭풍전야 응급실]서울의 한 대형병원 소아흉부외과 교수는 '소아 응급실에서 수술할 수 있는 교수는 전멸'이라고 표현했다. 이어 '복지부에선 ‘응급실에 의사가 있다’ 이러는데, 의사가 있어도 소아과에선 수술이 필요한 환자는 못 받고 있다'면서 '그러니까 결국 ‘응급실 뺑뺑이’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의 한 대형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성인과 소아가 뭐가 다르냐고 하지만, 전혀 다르다'면서 '응급실에서 환자 제대로 치료 못 했다는 이유로 소송당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응급실 뺑뺑이, 법원 '보조금 중단 처분 정당' 판결추락 사고로 응급실을 찾아 돌아다니던 10대 환자 A양을 응급의료 전문 기관이 수용하지 않아 사망한 사건으로 법원은 응급실의 수용 거부가 응급의료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응급실 뺑뺑이’ 당한 유족, 정부엔 ‘전화 뺑뺑이’ 당했다지난달 경남 거제에서 발생한 응급실 ‘뺑뺑이’ 사망 사고(경향신문 10월17일자 보도)에 대해 정부가 경위를 조사하겠다고 밝혔지만, 유가족에게 설명이나 절차 안내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의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조사라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그러나 과정을 알 수 없어 답답한 유가족은 지자체와 보건복지부에 16차례나 전화를 걸고도 “담당 업무가 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