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 부동산 부자’를 가르는 기준선이 최근 5년 새 5억원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 자산이 상위 1%인 가구의 기준선은 30억원이었다. 이는 표본 가구를 실물자산(부동산 금액) 순으로 나열한 뒤, 각 가구의 가중치를 고려해 상위 1%에 해당하는 가구의 부동산 자산을 산출한 결과다. 같은
23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 자산이 상위 1%인 가구의 기준선은 30억원이었다.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지난 2019년 부동산 상위 1%의 기준선은 24억6000만원이었다. 5년 새 상위 1% 기준선이 5억4000만원이나 오른 것이다.
상위 5%의 기준선은 지난 2019년 11억2000만원에서 지난해 14억1000만원으로 2억9000만원 상승했다. 상위 10% 역시 7억5000만원에서 9억5000만원으로 기준선이 2억원 뛰었다. 반면 부동산 자산 기준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전체의 가운데인 중위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2019년 1억6000만원에서 2021년 1억8000만원으로 2000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20∼2022년 부동산 급등기와 이후 조정기를 거치면서 자산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했다는 해석이 나온다.특히 서울 강남권에서 집값이 치솟으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점차 벌어지고 있다. 자산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가구의 평균 부동산 자산에서도 이같은 지역별 양극화가 나타났다.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 5분위가 보유한 부동산 평균 금액은 수도권에서 13억6544만 원, 비수도권에서 10억7211만 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과 비교하면 수도권 부동산 평균 금액은 3억원 넘게 증가했으나 비수도권은 2억원가량 증가하는 데 그쳤다.지난해 세종이 7억6663만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서울과 경기는 각각 7억6173만원, 6억5945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평균 금액이 가장 낮은 시도는 충남와 전남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보수·중도·진보까지…상속세 최고세율 ‘50%→40% 인하’ 목소리 높았다한국갤럽 여론조사 절반 이상 ‘지금보다 낮아야’ 유산취득세 도입 여론도 높아 부자 기준 응답엔 ‘평균 33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토허제 풀리니 매매가만 치솟는다”…갭투자 벽 더 높아졌다는데실거주 의무 없어졌지만 강남 집값 급격히 오르자 전셋값과 차이 더 벌어져 30억 엘스 84㎡ 갭투자에 17억원 안팎 있어야 가능 “자금 부담 커져 수요한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준비자산 부족한 달러, 비트코인이 대안…트럼프 가상자산 지지는 전략적”해시드오픈리서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세미나’ 美 부채비율, 2차대전 후 최대…채권 쇼크 올수도 달러 준비자금 부족해 금·비트코인 등 자산 각광 스테이블코인 금융안정성 논의 있어야 제도화 가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만 보면 안 된다…레거시 반도체도 살아난 SK하닉 풀매수 [주식 초고수는 지금][수익률 상위 1% 투자자 오전 9시 30분 거래동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야 4당·시민사회 “이재명 상속세 개편안은 부자 감세”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야 4당과 시민사회단체가 27일 “양극화가 심화되고 나라 재정이 바닥난 상황에서 거대 양당이 벌이고 있는 감세 경쟁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상속세 완화 규탄 기자회견을 열어 이렇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리집에서 한강 보여”...‘뷰’ 따라 공시가 하늘과 땅 차이공시가 한강조망 ‘밸류업’ 반포 아리팍 높은 로열층 저층과 비교한 공시가 차 작년 5.3억서 올해 7.6억 재건축 자산 감정평가 때 한강조망 가치 반영 요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