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라는 OTT(Over The Top,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상업 플랫폼이자 미디어 사업자다. 기본적인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 엄청난 경쟁 안에서 승자의 자리에 올라가 있는 사업자다. 넷플릭스 안에 성소수자 인권을 말하는 다큐멘터리와 성소수자를 비아냥거리는 스탠딩 코미디가 같이 있는 것은 윤리적 판단보다 시장 논리를 따르는 ‘넷플릭스’의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다.다수의 한국 제작사가 넷플릭스라는 OTT를 통해 택한 전략은 ‘선정성’이다. 지난 26일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서 진행된 ‘〈나는 신이다〉는 다르지 않
‘넷플릭스’라는 OTT는 상업 플랫폼이자 미디어 사업자다. 기본적인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 엄청난 경쟁 안에서 승자의 자리에 올라가 있는 사업자다. 넷플릭스 안에 성소수자 인권을 말하는 다큐멘터리와 성소수자를 비아냥거리는 스탠딩 코미디가 같이 있는 것은 윤리적 판단보다 시장 논리를 따르는 ‘넷플릭스’의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구조가 가려지면서 남은 건 ‘폭력’이 아니라 분노뿐이다. 성폭력 범죄는 명확하게 권력구조가 나눠져있고 소수의 사람에게 권력이 집중된 곳에서 반복되고 있는데, ‘사이비’라서 벌어진 ‘특이한’ 사건으로만 비춰졌다는 문제점도 있다. 류벼리 한국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 활동가는 “가해자가 나쁜 사람이라는 것으로 서술이 끝났을 때, 이는 가해자를 제외한 모두를 관객으로만 만든다. 이 상황을 함께 바꿔나가야 할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잊어버리게 된다”며 “이 방송의 목적이 ‘진짜 해결’이었다면, 성폭력이 일어난 구조와 방식을 설명하며 성폭력을 일으키는 구조적 요인은 우리의 현실에 다양한 방식으로 녹아들어있다고 말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의 선정성 문제가 촉발된 후, ‘OTT 저널리즘’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OTT에도 저널리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폭력 피해자 상담과 지원을 하는 김혜정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은 실제 피해자들이 언론에 협조하면서 겪었던 사례들을 나눴다. 김혜정 소장은 “얼마나 선정적인지 알지만, 피해사실을 고발하기 위해 시청률이 가장 높은 ‘그것이 알고싶다’에 나가야 한다고 말하는 피해자들이 많다. 이제는 OTT에서 이런 다큐멘터리가 많이 생성될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손희정 교수는 “많은 방송사 관계자가 ‘방송사에선 못했는데, OTT 가니까 할 수 있었다. 나는 능력이 있는데 한국 방송이 보수적이어서 뜻대로 하지 못한다’라고 인터뷰한다. 하지만 에서 OTT에 가서야 비로소 발휘될 수 있었던 실력이라고 하는 건, 선정성과 폭력의 재현이었다”며 “이처럼 언론이 현재 만인 대 만인의 투쟁에 내몰려있고 주목을 받아야 살아남을 수밖에 없는 미디어 환경을 그대로 둔 채로는 책임을 묻기 어려워지는 면이 있다”고 말했다.
홍남희 교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자기들은 정치적 입장이 없다고 하지만, 사실 미디어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이 있다”며 “분명히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피해자를 재현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계속해서 이야기하고 거기에 동참하도록 넷플릭스를 끌어들이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 유튜브 혹은 넷플릭스에 문의했을 때 한국 담당자가 없다고 하면, 담당자를 있게 만든다든가 하는 방법들을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십 년간 지속된 가톨릭 교단 내 성폭력 사건을 ‘보스턴 글로브’ 스포트라이트 팀이 폭로한 실화를 다룬 영화 〈스포트라이트〉도 자주 언급되는 사례다. 영화에서 취재 중 성직자들의 성폭력과 관련한 결정적인 증거가 나왔는데, 한 기자가 다른 언론사에서 이 내용을 먼저 보도할 수도 있으며 “쓰레기들을 잡아야 한다”며 보도를 밀어붙이자, 선임은 “체계를 파헤쳐야 한다”며 보도를 막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나는 신이다’, 자극적 관심을 문제 해결 열쇠로 착각”“(넷플릭스 시리즈) ‘나는 신이다’는 자극적인 영상이 부른 관심이 사건을 해결하는 열쇠가 되고 있다는 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폰 싫어하는 줄'…관람객 스마트폰 깨부순 해달의 착각 | 중앙일보물속으로 들어가 스마트폰을 찾아낸 뒤 바위에 내리치기 시작했습니다.\r해달 아이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 괴물이면 신붓감 탈락'…짝짓기 몰려간 중국 남성들 내건 조건 | 중앙일보그들은 왜 남동생이 없는 신붓감을 원하는 걸까요? 이유가 있었습니다.\r중국 미혼 남성 푸디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디언식 이름짓기, 대장간 뜻하는 지명 '야로' '야동'인디언식 이름짓기, 대장간 뜻하는 지명 '야로' '야동' 대장간 쇠판이 풀무재 야로 야동 정진오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화연예 플러스] JMS 정명석 실체 고발 김도형 교수 위협받아입니다. MBC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공개 이후 JMS 총재 정명석의 엽기적인 성범죄 행각에 공분이 일었는데요. 정 총재의 실체를 고발해 온 김도형 단국대 교수가 J...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터뷰] ‘드림’ 이병헌 감독 “‘거지’라는 말 흔히 쓰지만 우리는 홈리스를 모른다”“거지 같네.” 일상에서 가벼운 욕처럼 쓰이는 말이다. 영화 드림 속 대사에서는 그 무게가 다르다. 축구팀 감독 홍대(박서준)가 “그지(거지) 같네”라 한탄하자 홈리스 팀원들은 “뭐 틀린 말은 아니네”라며 웃어 제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