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6년간 발생한 금융사고 중 ‘횡령·유용’ 40% 넘어 은행권에서 가장 많이 발생…우리銀, 사고 규모 1등 책무구조도 구체적 윤곽 미흡, 신한은행 유일 제출
책무구조도 구체적 윤곽 미흡, 신한은행 유일 제출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가 막을 연 가운데, 올해 금융권 최대 화두 중 하나로 꼽히는 내부통제 책무에 관한 질타·질의가 예상된다.
특히 금융판 중대재해처벌법으로 불리는 ‘책무구조도’의 은행권 준비·도입 현황과 최근 연달아 터진 대규모 횡령·배임 등 금융사고 재발을 막기 위한 실효성 있는 가이드가 제시될지 이목이 집중된다.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발생한 금융사고 금액은 1336억5200만원에 달했다. 상반기를 겨우 지난 지금 시점에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금융사고 규모를 거의 따라잡았다.같은 기간 업권별로는 은행 금융사고가 전체의 61.9%를 차지하며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은행 중에는 우리은행이 1421억1300만원으로, 전체의 34.7%를 차지하며 금융사고 규모가 가장 컸다. 국민은행, 경남은행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지난 7월부터 금융권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책무구조도가 시행됐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실효성과 구체적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진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책무구조도는 금융회사 주요 업무별 최종책임자를 특정함으로써 내부통제 책임을 하부에 위임할 수 없도록 해 내부통제에 대한 임원의 책임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됐다.다른 은행들도 국감을 맞아 책무구조도 윤곽 잡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내부통제와 개인채무자 보호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각 KB책무관리실과 개인채무조정전담팀을 신설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관련 컨설팅과 법률 검토를 진행하는 등 책무구조도 조기 제출을 위한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강민국 의원은 “금융 당국은 금융사고 관련 사고자뿐만 아니라 관계자에 대한 처벌 수위도 대폭 강화하도록 지도하고 금융업권별 발생하고 있는 금융사고 분석을 통해 맞춤형 대책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정문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규모 금융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금융회사가 책무구조도에 기반한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관리체계를 도입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임종룡 “국감 출석하겠다” 정무위서 우리은행 부당대출 질의내부통제 부실로 금융권 사고 잇달아 양종희 KB 회장 출석 여부도 관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출금리 5%P 낮춰준 비교 서비스 … 소비자도 은행도 모두 웃었다이승건 토스 대표 강연소비자는 대출 이자 아끼고금융사는 고객 확보해 윈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한은행, 은행권 첫 책무구조도 제출내부통제 매뉴얼·점검시스템도 정비 KB책무관리실 신설…책무구조도 운영·점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권 무더기 배임·횡령 사고액수 5년간 1조3천억올해 사고 절반 은행서 발생'내부통제 더 강화를' 목소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돈 장사하면서 돈이 우습나?”…금융권, 5년간 배임·횡령 1조3천억올해 금융사고, 작년 규모 뛰어넘어최근 5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배임·횡령·사기를 비롯한 금융사고 규모가 1조3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2000억원 넘는 금융사고의 절반 이상이 은행에서 터진 것으로 드러나며 금융당국이 은행에 대한 통제의 고삐를 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인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민 배달료’ 질타에 “상생협의체 합의 기다려보자”는 중기부 장관중기부 국감서 배달플랫폼 문제 지적 쏟아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