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카카오페이 써볼까”…알리페이 제휴사 QR로 200만곳 결제

대한민국 뉴스 뉴스

“日서 카카오페이 써볼까”…알리페이 제휴사 QR로 200만곳 결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전 세계 1위 간편결제업체 ‘알리페이+’ 벚꽃철 겨냥 日 가맹점 200만곳 확보 카카오페이도 알리페이 QR코드 찍어 한국과 똑같이 ‘밥도 먹고 옷도 사고’

한국과 똑같이 ‘밥도 먹고 옷도 사고’ 세계 최대 간편결제업체인 중국의 알리페이가 일본 사업 강화에 나섰다.

전 세계 관광객이 많이 찾는 일본 벚꽃 개화 시즌을 맞아 알리페이로 결제할 수 있는 일본 내 가맹점 숫자를 200만개로 늘린 것이다. 알리페이 제휴사인 카카오페이도 알리페이나 알리페이 일본 제휴사인 페이페이 QR코드 등을 활용해 한국과 같은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지난 27일 알리페이는 글로벌 15개국 기자들을 초청해 도쿄 치요다구 앤트그룹재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더글러스 피긴 앤트인터내셔널 사장과 홍콩·마카오·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 등 제휴사 대표들이 참석했다. 한국에서는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가 질의응답에 나섰다.

피긴 사장은 “3월 첫 3주간 일본에서 알리페이를 이용한 간편 결제 거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0% 이상 증가했다”며 “알리페이와 제휴사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결제가 일본 전체 결제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카카오페이 이용자의 경우 알리페이나 일본 파트너인 페이페이 QR코드가 있는 곳에서는 한국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제가 가능하다. 카카오페이 앱을 열고 결제하기 버튼을 누르면 QR스캔을 할 수 있는 화면으로 넘어간다. 일본서 카카오페이 앱을 작동시킬 경우 이용방법과 추가 할인을 얻을 수 있는 가맹점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알리페이 간편결제는 현재 전 세계 15억명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중화권과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25개 제휴사를 두고 있고, 우리나라 제로페이 같은 공공기관 등과도 제휴가 되어 있다. QR코드를 통해 결제할 수 있는 가맹점은 전 세계 57개 국가, 8800만 곳에 달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750원 양갱 하나도 카드 받는 세상인데”…25만원 보험료는 안된다더라“750원 양갱 하나도 카드 받는 세상인데”…25만원 보험료는 안된다더라생보사-카드사, 수수료 갈등 지속 보험소비자, 결제 선택권 제약 카드 결제 현황 공시도 효과 ‘미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갑도 안가지고 다니는데 카드를 왜 써요?”…요즘 젊은이는 결제할 때 앱 켠다“지갑도 안가지고 다니는데 카드를 왜 써요?”…요즘 젊은이는 결제할 때 앱 켠다모바일기기 결제 비중, 실물카드 앞질러 2030세대 10명 중 6명 ‘OO페이’ 결제 단순 신용카드 연결 나아가 앱 자체 충전 간편함·연동성·경제적 혜택 등 인기 주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렇게 될때까지 뭘 한거야”…멈추지 않는 엔화 매도에 칼 빼든 일본“이렇게 될때까지 뭘 한거야”…멈추지 않는 엔화 매도에 칼 빼든 일본월말, 달러 결제 수요 영향 시장 일본 정부 개입 ‘촉각’ 日, 통화정책 담당자 교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뱅, 모바일 환전 지갑 ‘달러박스’ 출시…카톡으로 친구에게 달러 선물도카뱅, 모바일 환전 지갑 ‘달러박스’ 출시…카톡으로 친구에게 달러 선물도달러 입출금·결제 수수료 무료 카톡으로 달러 선물하기 기능도 카뱅 “외환 생태계 조성해 나갈 계획”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FINANCIAL TIMES 제휴사 칼럼] 美 '관세 공약'이 나쁜 정책인 이유[FINANCIAL TIMES 제휴사 칼럼] 美 '관세 공약'이 나쁜 정책인 이유미국 보호무역주의의 부활 오늘날 세계는 1930년대 초반처럼 미국의 주도 아래 보호무역주의로 나아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열렬한 보호무역주의 지지자이자 미국의 대표 보호무역주의 정책인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의 진정한 계승자다. 트럼프 전 대통령 수준까진 아니더라도 최근 중국산 수입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해지는 ‘슈퍼 엔저’ 폭풍…日 정부 시장 개입 경계감 커강해지는 ‘슈퍼 엔저’ 폭풍…日 정부 시장 개입 경계감 커달러당 엔화값 161엔대로 월말, 달러 결제 수요 영향 시장 일본 정부 개입 ‘촉각’ 日, 통화정책 담당자 교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9 19:4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