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저온학회 검증위원회 브리핑
초전도 현상에 따른 자기 부상 효과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퀀텀에너지연구소 등이 만들었다는 ‘엘케이-99’의 상온·상압 초전도성을 검증하고 있는 국내 연구기관 8곳 중 4곳이 재현실험 결과, 초전도 특성을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 검증위원회는 31일 서면 브리핑에서 “퀀텀에너지연구소가 공개한 논문 제조방법을 채택한 경우와 별도의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한 경우 등 총 4곳의 연구기관이 재현실험을 진행했으나, 초전도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이번에 재현실험을 진행한 곳은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구단과 한양대 고압연구소,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 포항공대 물리학과 연구팀 등 4곳이다. 서울대 등 3곳은 퀀텀에너지연구소가 밝힌 제조 방법에 따라 재현시료를 제조했고, 포항공대 쪽은 별도의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해 실험했다.
검증위에 따르면 한양대가 재현한 시료는 도체라기보다는 부도체에 가까왔고, 서울대가 재현한 시료의 자화율 측정에서는 전반적으로 약한 반자성 특성만 나타났다. 또 부산대가 처음 합성한 시료에서는 150~180K 사이에서 저항의 변화가 관측됐지만 초전도성에 의한 전기저항 감소는 아니라는 판단이 내려졌다. 또 포항공대가 별도 공정으로 단결정 시료를 제작해 진행한 실험에서는 앞서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발표한 결과와 일치하는 부도체 특성이 확인됐다. 검증위는 “현재 위원회와 연계하여 재현실험 연구를 진행 중인 기관은 총 여덟 곳이며, 이외에 연구 의향을 밝힌 곳이 한 두 곳 더 있다”며 “여러 연구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 많은 시료를 재현하여 측정하는 것이 결론 도출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김정수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마음 속 깊은 얘기 편하게 해요”… 경기도, AI노인말벗 두달새 5900건 상담경기 양주시에 거주하는 60대 A씨는 건강 악화로 식사를 제대로 못 해 몸무게가 35㎏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벽 첫 차 탄 한덕수 총리 '진심'을 의심하게 만든 장면[하작가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버스요금, 택시기본요금 파악 못 해... '민생안정'은 어디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부산 지하철서 불법촬영 30대 남성 구속…피해자 43명경찰, 압수수색해 성관계 불법촬영 추가 확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겨울철새 떼까마귀, 해외 여름철 서식지 최초 확인국가철새연구센터, 추적기 부착해 중국 북동부와 러시아로 이동 사실 확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