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잡 안 쓴 배우가 포스터에…’ 영화제 중단시킨 이란

대한민국 뉴스 뉴스

‘히잡 안 쓴 배우가 포스터에…’ 영화제 중단시킨 이란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3%

최근 이란 정부가 히잡을 쓰지 않은 여배우를 잇달아 기소하고, 히잡 없는 여성의 모습을 담은 포스터로 활용한 영화제까지 금지시키는 등 단속에 고삐를 죄고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단속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란 정부에 징역2년 집행유예를 선고 받은 아프사네 바예간. 인권운동가 통신 트위터 갈무리 최근 이란 정부가 히잡을 쓰지 않은 여배우를 잇달아 기소하고, 히잡 없는 여성의 모습을 담은 포스터로 활용한 영화제까지 금지시키는 등 단속에 고삐를 죄고 있다. 통신은 23일 이란 문화부 장관이 이란단편영화협회가 9월 테헤란에서 개최하는 제13회 ‘ISFA 영화 페스티벌’에 대해 개인적인 금지 명령을 내렸다고 국영 통신을 인용해 보도됐다. 영화제가 중단된 가장 큰 이유는 이 영화제 홍보 포스터에 히잡을 쓰지 않은 배우의 사진이 쓰였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이란단편영화협회는 1982년 이란 영화 ‘아즈데게르드의 죽음’에 출연한 여배우 수잔 타슬리미가 히잡을 착용하지 않은 채 정면을 바라보는 모습을 포스터에 담았다. 이란에서 히잡 착용이 의무화된 1983년 이전에 찍은 이미지를 40여년만에 포스터로 활용한 것이다.

또 반사회적 장애 치료를 위해 심리치료센터를 주1회 방문할 것과 건강진단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또 소셜미디어 사용도 금지했다. 이 조처는 바예간이 영화 행사에 히잡을 쓰지 않고 참가한 뒤 그 모습을 소셜미디어에 올린 뒤 내려졌다. 바예간은 이란에서 1970년대 미인 대회에서 우승한 뒤 영화에 다수 출연하며 널리 알려진 중년 배우다. 지난해 9월 22살 여성 마흐사 아미니의 사망 이후 발생한 반정부 시위를 적극 지지해왔다. 최근 히잡 착용 문제로 바예간 외에도 여러 여배우가 기소됐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제13회 ‘ISFA 영화 페스티벌’ 포스터. 이란단편영화협회 인스타그 지난해 9월 히잡 반대 운동으로 촉발된 이란의 반정부 시위는 올해 초부터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시위를 계기로 테헤란 거리에서 히잡 없이 자유로운 복장을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란 시위: 논란 많은 이란 '도덕 경찰' 복귀에 반발 확산 - BBC News 코리아이란 시위: 논란 많은 이란 '도덕 경찰' 복귀에 반발 확산 - BBC News 코리아논란 많은 이란 '도덕 경찰' 복귀에 반발 확산 이란의 도덕 경찰은 마흐사 아미니의 죽음으로 이란 전역에서 시위가 일어난 이후 약 10개월간 활동을 멈췄다. 하지만 최근 다시 히잡 착용에 대한 엄격한 단속을 실시하면서 이에 대한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살 아들 두고 숨진 러시아군 일기 “죽이고 싶지 않아, 아무도…”2살 아들 두고 숨진 러시아군 일기 “죽이고 싶지 않아, 아무도…”“무섭고 신경이 곤두서서 눈물을 흘리며 글을 쓴다. 모두를 정말 사랑한다. 나는 아무도 죽이고 싶지 않다. 모든 종교가 ‘살인하지 말라’고 가르치기 때문이다. 우리도 살인하지 않고 그들(우크라이나군)도 우리를 죽이지 않길 바란다.” 🔽 전사한 러시아 군인의 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새책] 문재인 정부는 왜 실패했고, 개혁진보의 집권은 어떻게 가능할까?[새책] 문재인 정부는 왜 실패했고, 개혁진보의 집권은 어떻게 가능할까?[새책] 문재인 정부는 왜 실패했고, 개혁진보의 집권은 어떻게 가능할까?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년 쓴 전화 끊어 수천만 원 '뚝'...배상은 '찔끔'20년 쓴 전화 끊어 수천만 원 '뚝'...배상은 '찔끔'[앵커]인력사무소에서 20년째 써온 사무실 번호를 KT가 실수로 끊어버리면서 석 달 매출이 7천만 원 떨어졌는데, KT가 제시한 배상액은 백만 원이 채 되지 않습니다.배상 한도를 턱없이 낮게 정해둔 약관과 고객이 피해를 입증해야 하는 구조 때문에 '찔끔 배상'이 반복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윤웅성 기자가 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크말은 과연 억울한 누명을 쓴 것일까아크말은 과연 억울한 누명을 쓴 것일까아크말은 과연 억울한 누명을 쓴 것일까 그알 창원택시기사사건 외국인범죄 그것이알고싶다 이준목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1 08:4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