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 묵념.”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이주배경아동과 청소년들이 머리를 숙였다. “고 강태완님에게 자유롭게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다면 우리는 (오늘 죽음 대신) 그의 다채로웠을 삶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학교를 다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이주배경아동과 청소년들이 ‘장기체류 미등록 이주아동 체류권 보장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어 내년 3월31일 종료되는 ‘한시적 구제대책’의 상시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문영 기자“고 강태완님에게 자유롭게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다면 우리는 그의 다채로웠을 삶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이날 기자회견은 이주배경아동·청소년 당사자들이 법무부에 ‘조건부 구제대책’의 상시 제도화를 촉구하기 위해 열렸다. ‘국내 체류 기간 등의 요건을 충족할 경우 임시체류자격을 부여’하는 대책이 내년 3월31일 종료를 앞두고 있었다. 기자회견에 모인 20여명은 국적과 피부색은 달랐지만 모두 ‘네이티브 한국어’를 구사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갖고 자랐다. 그들은 직접 사회를 보고 발언하며 ‘구제대책을 끝내지 말라’고 요구했다. ‘꿈꿀 권리’를 호소하는 캠페인 ‘렛 어스 드림!’도 기자회견과 함께 시작됐다.촬영이었다.
영상에서 태완씨는 “막막했던” 예전과 “자유롭게 이동하고 여행 다닐 수 있는” 지금을 비교하며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별것도 아닌 일들”이 “저는 너무 진짜 좋았다”고 했다. 산재로 자신의 목숨을 앗아간 회사에 대해서도 “특장차를 해외에 수출하는 회사고 저도 개발자로서 큰 기여를 하고 싶다”며 자부심과 포부를 밝혔다. 그의 영상은 사망 나흘 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장기체류 미등록 이주아동 체류권 보장을 위한 토론회’에서도 상영됐다.지난 8일 중대산업재해로 사망한 강태완씨가 자신과 같은 미등록 이주아동 후배들을 응원하며 숨지기 20일 전 촬영한 ‘구제대책 상시화 촉구’ 캠페인 영상. 이 장면에서 딴 얼굴 사진이 결국 그의 영정이 됐다. 이주와인권연구소 영상 갈무리)이 낸 인권침해 진정에서 시작됐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20년 5월 법무부에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대책의 ‘높은 장벽’에 대한 지적들이 이어지자 법무부는 2022년 1월 외국에서 출생했더라도 6살 미만에 입국해 6년 이상 살아온 아동에게도 체류를 허용했다. 태완씨가 몽골로 떠나고 반년이나 지난 뒤였다. 법무부가 하라는 대로 했던 태완씨는 결국 겪지 않아도 될 고생을 치러야 했다.)를 통해 전해진 그의 좌절과 도전은 같은 처지에 있는 미등록 이주아동 후배들에겐 중요한 참고 사례가 됐다. 그 후배들이 기자회견에서 “한계가 분명한 구제대책조차 2025년 3월31일 종료된다”며 대책 보완과 상시화를 요구했다. 한국에서 태어나 15년을 살아온 나이지리아 국적의 주시양이 마이크를 넘겨받았다. 그는 “이제 와서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로 가면 적응 못 한다”며 “한국에서 훌륭한 사람으로 클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구제대책으로 체류자격을 받은 그와 달리 4살인 동생은 ‘6년 이상 거주’를 못 채워 미등록 상태로 있다. 대책이 종료되면 동생과 동생을 혼자 보낼 수 없는 가족은 한국을 떠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머무를 권리’ 절실한 미등록 아동, 한시 대책으론 안돼국내에서 안정적 체류 자격을 얻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산재 사고를 당한 강태완(몽골명 타이반·32)씨의 안타까운 죽음을 계기로, 미등록 이주아동들의 열악한 처지가 재조명받고 있다. 머무를 권리, 미래를 꿈꿀 권리를 박탈당한 장기체류 미등록 이주아동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안정 노동의 덫에 갇힌 청년, 미래를 꿈꿀 수 있을까?청년이 결혼하고 출산을 결정하는 것은 성인으로 이행하는 삶의 긴 경로 위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저출생에 대한 무수한 논의와 정부 정책은 출산과 관련한 특정 시기에 집중되었다.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한 제15회 아시아미래포럼 ‘불안정한 사회에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3’ 백화점 연중 최대 “올해 마지막 정기세일”“올해의 마지막 세일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롯데·현대·신세계 등 ‘빅3’ 백화점이 오는 15일 일제히 연중 최대 규모의 마지막 정기세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위비 인상 못 피할 바에야 ‘이것’이라도 챙겨야”…외교·안보 전문가 3인의 묘수는핵연료 재처리 권리 확보해 한미관계 이익균형 맞춰야 비용 갈등에 동맹 흔들리면 美에 몇백배 큰 손해 설득을 양국 간 국익 공통분모 키워 트럼프 우선순위에 들어가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 제2공항 수천 필지 들여다보니…짙게 드리워진 투기의 그림자[주간경향] “제2의 하와이보다는 우리의 삶의 터전으로서, 생활의 보금자리로서의 제주도를 원한다.” 지난 11월 11일 찾은 제주시 이도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 지상철도 68km 지하화…'제2의 연트럴파크' 만든다(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서울 서남권에서 동북권을 잇는 약 68㎞ 지상철도 구간 곳곳에 '제2의 연트럴파크'가 조성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