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진전을 환영하면서도 동시에 “100년 전 일”을 문제 삼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까. 📝김은지 기자
“100년 전 일로 일본이 무릎 꿇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 못해.” 4월24일 공개된 윤석열 대통령의 〈워싱턴포스트〉 인터뷰는 나오자마자 이 구절로 뜨거운 반응을 불러왔다. 윤 대통령의 역사 인식이 도마 위에 오르자 여당은 오역을 주장했다. ‘주어 논란’이 일자, 미셸 예희 리 〈워싱턴포스트〉 기자는 한국어 원문을 날것으로 공개했다. “정말 100년 전의 일들을 가지고 지금 유럽에서는 전쟁을 몇 번씩 겪고 그 참혹한 전쟁을 겪어도 미래를 위해서 전쟁 당사국들이 협력하고 하는데 100년 전에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이거는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해당 문장의 주어가 일본이라고 주장하던 국민의힘 쪽 이야기는 쏙 들어갔지만, 정작 더 진지하게 다뤄야 할 논쟁도 함께 사라져버렸다. 윤 대통령은 ‘한·일 사이 과거는 현재의 걸림돌이며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치워야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저렇게 빈손으로 항복할거면서 그동안 왜 그렇게 난리를 쳤나’ 하는 식으로 혹시 바라보는 게 아닐까 하는, 시쳇말로 찝찝함이 생기더라. 당당함이 많이 사라졌다. 일본의 양심 세력도 많다고 강조했다. 그렇다. 지금은 많이 줄었지만, ‘가미카제’를 자발적으로 간 게 아니라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일본 만화로 그려지기도 했다. 겉으로는 자발적이었지만, 실제로는 어쩔 수 없이 강제당했던 부분에 대한 진상규명은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 한·일이 서로 미래 발전적인 역사관을 가질 수 있다. 양심적 목소리는 왜 일본 주류가 되지 못했나? 1차 계기는 1970년대 이후 일본 정치가 보수화된 것이다. 1990년대 들어 사회당이 없어졌다. 지금 일본에는 야당다운 야당이 없다. 견제 세력이 없는 권력은 자정능력이 떨어진다. 두 번째로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가 컸던 것 같다. 이 이슈로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일본 정치의 중심에 섰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 윤 대통령, 한동훈 콕 찍어 물었다 '체포안 부결 어떻게 생각하나' | 중앙일보'법무부 장관은 한번 말해보라' 윤 대통령 말에, 한 장관의 답은...\r윤석열 한동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오염수 마실 수 있다? 총리 발언이 괴담'민주당, 한덕수 총리에 맹공... "태평양 연안 국가 제소 추진... 우리 정부는 왜 말이 없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에게만 불편한 스낵바가 생겼습니다저에게만 불편한 스낵바가 생겼습니다 간식 존중 미식가 취향 선혜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왜 안흥은 찐빵으로 유명해졌을까왜 안흥은 찐빵으로 유명해졌을까 강원도여행 운민 횡성여행 강원도 횡성 운민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여행 갈 때 금목걸이 두고 가세요'…외교부 당부 왜 | 중앙일보'온몸을 터치하고, 가방을 하나하나 다 풀더라'\r일본 여행 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지지율 정체 왜 반복되나[이충재의 인사이트] 극단적 부정 평가 이례적으로 높아...국정기조 전환 없인 박스권 지지율 고착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