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원봉 시민’의 연대, 냉소·분노도 희망으로 바꿨다[12·3 비상계엄 한 달]

‘응원봉 시민’의 연대 뉴스

‘응원봉 시민’의 연대, 냉소·분노도 희망으로 바꿨다[12·3 비상계엄 한 달]
냉소·분노도 희망으로 바꿨다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45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4%
  • Publisher: 51%

12·3 비상계엄 사태가 3일 한 달째를 맞는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 달 동안 ‘응원봉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그들은...

사진 크게보기 전국농민회총연맹이 트랙터를 몰고 서울 한남동 대통령관저로 향하다 서울 서초구 남태령 일대에서 가로막혀 밤새 대치한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22일 시민들이 집회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효진 기자

시민 행동의 중심에는 2030세대 여성이 있었다.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뛰쳐나온 2030 여성들이 광장에서 겪은 경험은 사회 각계의 소외된 이들과의 연대로 이어졌다. 응원봉 시민은 ‘트랙터 농민’이 서울 남태령의 차벽을 넘을 수 있게 했고, ‘휠체어 장애인’이 지하철역에서 강제로 끌려나가지 않고 목소리를 낼 수 있게 했다. 12·3 사태 이전부터 거리와 광장을 지켜온 활동가들은 지난 한 달을 돌아보며 “세상이 바뀌지 않는 것 같아 냉소하고 분노했던 마음을 시민들이 희망으로 바꿔놨다”고 말했다. 응원봉 시민이 만든 연대의 유산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지에 대한 ‘행복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도 했다.농민·장애인 활동가들은 2일 남태령과 지하철에서 이어진 시민들의 연대가 “연말 선물처럼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들은 그간 우리 사회에서 소외와 배제, 심지어 혐오의 눈초리를 받으며 위축됐던 약자들이다.

오랜 시간 쌓여온 무력감과 분노는 응원봉 시민을 만나며 희망으로 바뀌었다고 했다. 하 의장은 “남태령에서 만난 20~30대 여성들과 이야기를 나눴을 때 이들이 ‘농업 4법’에 관해 공부하고 농촌 문제를 같이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전농 회원들이 시위를 마치고 돌아가는 길에 ‘우리 투쟁이 헛되지 않았다’는 생각에 다 같이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고 말했다. 활동가들은 응원봉 시민의 연대가 ‘나중’이 아닌 ‘지금’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일원이자 민달팽이 유니온 위원장인 지수씨는 “탄핵 집회도 ‘사회 대개혁’을 내세우고 있는 만큼 연대의 목소리를 낸 시민들에게 박수를 보내는 것을 넘어서 신속히 시민들의 구체적인 요구를 모으고 표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냉소·분노도 희망으로 바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장도 안 좋은데 저축이나 하자”…쥐꼬리 이자에도 예·적금 수요 ‘쑥’“장도 안 좋은데 저축이나 하자”…쥐꼬리 이자에도 예·적금 수요 ‘쑥’5대은행 예·적금 잔액, 한 달 새 6.8조 증가 두 차례 기준금리 하락에 ‘막차수요’ 영향 비상계엄 사태 후 요구불예금 약 12조 늘어 정치리스크에 증시 불안, 투자자금 갈 곳 잃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대통령실 ‘엑소더스’ 가시화?…한 달 새 최소 16명 떠났다[단독]대통령실 ‘엑소더스’ 가시화?…한 달 새 최소 16명 떠났다대통령비서실에서 최근 한 달 사이 선임행정관·행정관급 직원이 적어도 16명이 그만둔 것으로 확인됐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통령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2·3 국회 앞 장갑차 막은 시민, 이재명 대표 호소에 응답12·3 국회 앞 장갑차 막은 시민, 이재명 대표 호소에 응답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꼭 찾아 주십시오'라고 호소한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장갑차량을 맨몸으로 막은 시민 'A씨'가 본인임을 확인하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책 기조부터 바꿔라”…혐오·소외 당한 이들이 외쳤다“정책 기조부터 바꿔라”…혐오·소외 당한 이들이 외쳤다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난 14일 시민 200만명(집회 주최 측 추산)이 국회로 향한 직접적 계기는 12·3 비상계엄 사태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2·3 비상계엄, 해외 한인 유학생·연구자 SNS 연대12·3 비상계엄, 해외 한인 유학생·연구자 SNS 연대12·3 비상계엄 이후, 해외 한인 유학생·연구자들은 SNS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규탄 및 촉구 집회를 개최하며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활동을 하고 있다. 김우희(29)씨가 주도하는 '해외 한인 유학생·연구자 네트워크'는 21개국 164개 대학 356명이 참여하며 온라인 허브로서 활동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 시민, 군용차 막아 '비상계엄 막았다'한 시민, 군용차 막아 '비상계엄 막았다'김동현씨,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후 국회 쪽으로 향하는 군용차를 맨몸으로 막아, 이후 다른 시민들과 합심하여 차량을 돌려보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7 02:2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