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중 일본군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한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가 2심에서도 명예훼손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류 전 교수는 선고가 끝난 뒤 “(일본군 ‘위안부’ 중) 강제로 끌려간 사람이 있으면 실명을 대보라”며 생각에 변화가 없다는 뜻을 분명
수업 중 일본군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발언한 류석춘 전 연세대 교수가 2심에서도 명예훼손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받았다. 류 전 교수는 선고가 끝난 뒤 “ 강제로 끌려간 사람이 있으면 실명을 대보라”며 생각에 변화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정의기억연대는 “사법부의 반인권적·반역사적 판결”이라며 즉각 반발했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항소2-3부는 24일 류 전 교수의 명예훼손 혐의에 대해 류 전 교수와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원심의 벌금 200만원 판결 선고를 유지했다. 유죄가 인정된 부분은 류 전 교수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할머니들을 모아 교육을 시켜 같은 말을 하게 만들었다”고 발언한 부분이다. 이밖의 혐의에 대해선 모두 무죄가 선고됐다. 원심과 같이 2심 재판부 역시 “위안부는 매춘의 일종”이라는 류 전 교수의 발언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봤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발언이 통념에 어긋나고 비유도 부적절한 점은 있지만 이 발언이 대학 강의 중 학생들과의 질의응답 과정에서 나온 점, 피해자 개개인을 특정하지 않고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점 등을 고려해 사실 적시로 보기 어렵다”며 검사의 항소를 기각했다.다만 정대협 명예훼손 혐의에 대해서는 1심과 같이 유죄가 인정됐다. 재판부는 “피고인의 발언은 구체적 사실관계에 관한 단정적 발언으로 보이고, 피고인이 추가로 제출한 증거들에 의해서도 사실임이 뒷받침된다고 보이지 않는다”면서 류 전 교수의 항소를 기각했다.
판결 직후 류 전 교수는 “유죄가 나온 부분에 대해 대법원에 상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류 전 교수는 ‘여전히 일본군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뒤 “한 사람이라도 강제로 끌려간 사람이 있으면 실명을 대보라. 기존 연구에 위안부는 다 돈 벌러 간 사람들이라고 나오는 것을 강의실에서 얘기한 것”이라고 이전 입장을 고수했다.강경란 정의기억연대 연대운동국장은 류 전 교수의 발언 직후 “학문의 자유, 교수의 자유라는 이름으로 반인권적이고 반역사적 발언을 쏟아내는 부분들에 대해 법원이 어떠한 제동도 걸지 않는 것은 반인권과 반역사를 방조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옛 광주교도소 유골 262구, 제주 4·3 희생자 가능성 커'(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5년 전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된 유골이 제주4·3 당시 광주로 끌려간 4·3 희생자일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준 사람 기소, 받은 사람 불기소’…정반대 판단에 검 셈법 복잡검찰수사심의위원회(수심위)가 최재영 목사의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를 권고한 것을 계기로 검찰의 김건희 여사 사건 처분 향방이 주목된다. 검찰 안팎에서는 김 여사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사람’ 140명 공공기관 임원 임명...직무관련은 18명뿐”정일영 의원 “윤 대통령, 공공기관 임원 자리에 자기 사람 대거 투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강의 섬세한 글, 세계에 알린 이 사람…번역가 데버라 스미스한강의 섬세한 글, 세계에 알린 이 사람…번역가 데버라 스미스 - 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강의 섬세한 글, 세계에 알린 이 사람…번역가 데버라 스미스한강의 섬세한 글, 세계에 알린 이 사람…번역가 데버라 스미스 - 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가가 강제로 불임수술을”…상상 못할 끔찍한 폭력이 벌어진 이곳 [Books]불과 50년 전 한국에선 불임수술을 국가가 강제할 수 있었다. 1973년 모자보건법이 처음 발효됐을 당시 제9조 시행령에 따르면, 특정 유전병이 있는 경우 의사는 보건사회부장관에게 불임수술 대상자의 발견을 보고해야 하고, 보건사회부장관은 그 환자에게 불임수술을 받도록 명령할 수 있으며, 그 명령을 통해 불임수술을 강제해야 했다. 2년 뒤인 1975년 충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