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국제금융지구의 ‘영어 친화 도시’ 조성이 속도를 내고 있다. 외국인들이 생활하기 편한 언어 환경을 만들겠다는 취지...
경기도를 비롯해 여러 지자체들이 '영어마을' 정책을 폈으나 운영 적자 등을 견디지 못하고 문을 닫은 바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여의도 국제금융지구의 ‘영어 친화 도시’ 조성이 속도를 내고 있다. 외국인들이 생활하기 편한 언어 환경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이를테면 도로 안내 표지판에 한국어보다 영어를 먼저 표기하고, 병원의 문진표나 부동산 계약서를 영문으로 만들어 외국인들이 불편해하는 문제부터 해결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식당에 영문 메뉴판이 담긴 태블릿 피시를 보급하고, 버스의 영어 안내 방송도 강화한다. 최종적인 목표는 외국으로부터의 투자 유치다. 서울이 싱가포르에 비해 모자랄 게 없는데, 유독 영어 때문에 아시아 금융 허브 자리에서 밀리고 있다는 것이 현임 서울 시장의 생각이다. ‘영어 친화 도시’ 구상의 배경이기도 하다. 과연 맞는 말인지 국제금융 전문가들의 토론이 필요해 보인다.
서울시는 여의도를 ‘영어 친화 도시’로 만드는 사업의 일환으로 옛 문화방송 부지에 영어도서관과 키즈카페를 만들 예정이다. 서울시는 해당 건물을 공공기여 받은 영등포구와 이 방안을 협의 중인데, 시설 조성만이 아니라 매년 들어갈 수십억 원의 운영 비용 문제를 조율한다고 한다. 그런데 영어도서관이 그렇게 급하고 필수적인지는 의문이다. 서울시는 시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환경이 국내 지자체 중에서도 하위권이기 때문이다. ‘2022 한국도서관연감’에 따르면, 공공도서관 1관당 봉사 대상 인구는 서울시가 4만8766명으로 전국 평균인 4만2747명보다 많다. 인구 비례로 볼 때 다른 지역보다 도서관 수가 부족하다는 뜻이다. 시민 1인당 공공도서관 장서량은 1.68권으로, 전국 평균인 2.34권에 비해 훨씬 적을 뿐만 아니라 17개 지자체 중 최하위다. 이처럼 시민을 위한 도서관과 책이 모두 부족한 서울시에서 외국인을 위한 영어도서관부터 만들겠다는 것은 공감이 어렵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친일 음악가 안익태의 ‘애국가’는 불가리아 민요 표절곡” [책&생각]친일의 오늘 안익태 애국가와 트로트 이해영·김정희·신현국·박영금·강태구 지음 l 가갸날 l 1만5000원 국가(國歌)만들기시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강원도 독자까지 끌어당기는 힘, 방산시장 ‘자석 책방’ [책&생각]우리 책방은요 │ 그래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말 놓을 용기, 적대하는 반말에서 존중하는 평어로말 놓을 용기 관계와 문화를 바꾸는 실전 평어 모험 이성민 지음 l 민음사 l 1만6000원 어린 여자는 종종 ‘반말’의 대상이 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82년생 김지영이 코로나를 ‘마주’했을 때마주 최은미 지음 l 창비 l 1만6800원 이 소설을 한마디로 비유하자면 ‘코로나 시대 김지영’이라 할 만하다. 사회적 차별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0년 남북관계 표류, ‘비대칭 탈냉전’ 때문 [책&생각]비대칭 탈냉전 1990-2020평화로 가는 좁은 회랑에 새긴 남북관계 30년이제훈 지음 l 서해문집 l 2만3000원 한·미·일 3국이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책&생각] 몇 가지 실수, 그러자 송이버섯이 등장했다책거리 애나 로웬하웁트 칭은 ‘세계 끝의 버섯’에서 여러 다양한 소재들을 가지고 독특한 분석들을 거침없이 내놓습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