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기 소년’이 된 정부, 분노·불신 뒤얽힌 부동산 시장 부추겼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양치기 소년’이 된 정부, 분노·불신 뒤얽힌 부동산 시장 부추겼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7%
  • Publisher: 51%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세법과 대출 요건은 복잡해졌고, 선의의 피해자들이 나왔다. 정책 발표가 거듭될수록 주택 수요자들 사이 ‘부동산이 더 오를 것’이라는 인식도 생겨났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6월 17일 내놓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 보도자료에 쏠린 관심은 숫자로 드러났다. 이례적인 반응이었다. 정부 홈페이지에 올라온 보도자료 조회수는 대개 1000회 안팎이다. 댓글이 달리는 게시물은 드물다. “집 사는 거 포기하렵니다, 제길…” 등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같은 해 9월 발표된 종부세 개편안으로 더 걷는 추가 세수도 1조150억원에 그쳤다. 당시 정부가 추산한 종부세 대상 34만9000명도 2007년보다 적었다. 표면적으로 최고세율만 참여정부보다 올라갔을 뿐이었다. 시장에는 ‘정부가 변죽만 울린다’는 신호를 줬다. 정부의 잦은 부동산 정책 발표도 시장에 불신을 심어줬다. 한국 부동산 시장에 ‘정부가 부동산 시장 폭락은 막는다’, ‘진보 정권에서 부동산 가격은 오른다’는 심리적 저지선이 이미 깔려 있는 점도 현 정부의 걸림돌이다. 각각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무현 정부 이후에 생긴 일종의 기대심리다.

부동산 시장 상승 국면에서 정부 불신을 더한 건 정부 고위공직자들의 처신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줄곧 “집을 팔라”며 다주택자를 압박했다. 재건축·재개발은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개발 사업의 시각으로 바라봤다. 부동산을 이용한 자산 증식은 해서는 안 될 행위라는 전제가 깔려 있었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정부의 추가 규제가 20~30대의 부동산 시장을 막는 정부 고위공직자들의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불만이 올라온다. 국토부 공무원들 사이에선 “청와대에 다주택자가 수두룩한데 다주택자를 옥죄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하는 게 설득력이 있느냐”는 푸념도 나온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문 정부 부동산정책 잘못한다” 64% 최고치…향후 1년 집값 전망도“문 정부 부동산정책 잘못한다” 64% 최고치…향후 1년 집값 전망도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현 정부 출범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0일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그게 예의냐' 이해찬, 성추행 의혹 질문 기자 노려보며 버럭'그게 예의냐' 이해찬, 성추행 의혹 질문 기자 노려보며 버럭이 대표는 이날 조문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불쾌함을 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권서도 김현미 경질론…이낙연 “정책 잘못 있었다”여권서도 김현미 경질론…이낙연 “정책 잘못 있었다”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민주당 의원은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장관을 동시에 경질해야 분노한 여론이 가라앉지 않겠냐”고 했다. 다른 민주당 의원도 “정책 실패를 인정한다면 장관 경질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연락 두절' 박원순 시장 숨진 채 발견[속보] '연락 두절' 박원순 시장 숨진 채 발견박 시장 새벽 0시쯤 숨진 채 발견 / 서울 북악산 팔각정과 삼청각 사이에서 소방 수색견에 발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시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서정협 부시장 9시 브리핑서울시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서정협 부시장 9시 브리핑박원순 서울시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서울시는 내년 4월7일로 예정된 보궐선거에서 차기 시장이 선출될 때까지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될 전망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13:0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