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5년 연금고갈’ ‘월급 35% 날라간다’ 연금 불신 조장 보도의 이면

대한민국 뉴스 뉴스

‘2055년 연금고갈’ ‘월급 35% 날라간다’ 연금 불신 조장 보도의 이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ediatodaynews
  • ⏱ Reading Time:
  • 3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63%

“여태 낸 거라도 돌려줘라 각자도생하게”국민연금 관련 기사의 주요 반응은 ‘연금 불신’이다. 언론이 비현실적 수치를 내세우며 연금 불안을 부추긴 결과다.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국민연금에 언론이 공론의 장이 아닌 ‘싸움터’를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세대를 갈라치며 연금의 사회적 수용성을 떨어뜨리고 구조적 개혁 등 필요한 논의를 막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보건복지부가 지난 27일 국민연금 5차 재정 추계 결과를 발표하자 28일 신문은 ‘2055년 고갈’, ‘소득 20% 내야할 판’, ‘문재인 정부 허송세월’ 등의 단어를 전면에 내걸었

국민연금 관련 기사의 주요 반응은 ‘연금 불신’이다. 언론이 비현실적 수치를 내세우며 연금 불안을 부추긴 결과다.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국민연금에 언론이 공론의 장이 아닌 ‘싸움터’를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세대를 갈라치며 연금의 사회적 수용성을 떨어뜨리고 구조적 개혁 등 필요한 논의를 막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매일경제는 28일 기사 에서 “기금이 고갈된 이후 ‘바로 걷어 바로 주는’ 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국민이 부담할 보험료율은 현재 9%에서 급증해 2080년에는 34.9%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며 “2080년 기금이 고갈된 상황에서 정부의 추가 재정 지원이 없다면 월 소득이 300만 원인 사람은 무려 105만 원을 매달 국민연금으로 내야 한다는 말”이라고 했다. 이재훈 사회공공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마치 제도가 파산하는 것처럼 사망선고날짜 쓰듯 언론이 얘기하고 있다.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가 오히려 불신을 부추기고 사회적 수용성을 약화시키고 있는 형태”라며 “저희는 ‘공포 마케팅’이라고 얘기한다. 2007년 연금개혁할 때부터 반복됐던 패턴이다. 국민연금은 신뢰와 사회적 수용성이 중요한데 심히 우려스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보험료율 20%를 넘어 35%까지 언급되는 보도는 ‘공포’ 그 자체다. 매일경제는 “2080년 기금이 고갈된 상황에서 정부의 추가 재정 지원이 없다면 월 소득이 300만 원인 사람은 무려 105만 원을 매달 국민연금으로 내야 한다는 말”이라고 했다. 연금 기금 고갈 이후 현재의 ‘적립식’ 연금을 그해 가입자들의 보험료로 충당하는 ‘부과식’으로 바꿨을 때를 가정한 숫자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ediatodaynews /  🏆 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4년만에 올스타전 돌아온 제왕 김연경 '팬 투표 1위 예상했다' | 연합뉴스14년만에 올스타전 돌아온 제왕 김연경 '팬 투표 1위 예상했다' | 연합뉴스(인천=연합뉴스) 홍규빈 기자=4년 만에 만원 관중으로 돌아온 프로배구 V리그 올스타전에서 가장 이목을 끈 선수는 단연 '여제' 김연경(35...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 내는' 국민연금 불가피…'더 받느냐'가 최대 쟁점'더 내는' 국민연금 불가피…'더 받느냐'가 최대 쟁점정부가 지난 27일 다섯번째로 내놓은 '국민연금 재정계산 재정추계 시산(試算)'은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추계 시산 결과 연금은 2041년 적자로 전환 2055년 고갈되는 것으로 나왔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5..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13년 4월 16일, 대장동 일당 '인증샷' 나비효과... '같이 뒤져야지'2013년 4월 16일, 대장동 일당 '인증샷' 나비효과... '같이 뒤져야지'2013년 4월 16일, 대장동 일당 '인증샷' 나비효과... '같이 뒤져야지' 김만배 유동규 남욱 정영학_녹취록 대장동_사업 이주연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기의 40대 가장, 5년 동안 전체 세대 중 나 홀로 고용률 낮아졌다위기의 40대 가장, 5년 동안 전체 세대 중 나 홀로 고용률 낮아졌다연령대별 고용률은 60세 이상이 4.6%포인트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15~29세(4.5%포인트↑), 30~39세(2.0%포인트↑), 50~59세(1.8%포인트) 순으로 올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