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매매소비심리 3개월 연속 하락 경기·인천은 상승 국면→보합 전환 올해 들어 매월 증가 거래건수 8월부터 하락세 돌아서
8월부터 하락세 돌아서 서울 주택시장에 매서운 찬바람이 불고 있다. 대출 규제 강화로 하락한 소비심리지수가 아파트 거래 급감으로 이어지고 있다.지수는 지난 7월 140.6으로 정점을 찍고 3개월 연속 떨어졌다. 다만, ‘상승 국면’은 유지하고 있다.서울과 함께 경기의 주택매매심리 지수도 9월 119.5에서 111.2로 8.3포인트, 인천은 116.1에서 109.5로 6.6포인트 각각 하락했다.지방의 주택매매심리 지수는 지난달 106.7로 3.5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전북, 제주, 대전의 지수 하락 폭이 컸다.지난달 전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0.1로 전달 대비 5.9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같은 기간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0.6으로 3.1포인트 올랐다.대출이 떠받치던 주택시장, 규제 강화에 ‘와르르’ 정부와 금융업계의 전방위적 대출 규제 효과가 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지난 10월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의 매매와 전월세 거래량은 각각 2287건, 1만3282건으로 나타났다. 동기간 연립·다세대 매매는 1682건, 전월세 거래량은 7510건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 7월에는 9047건으로 최다치를 기록했다. 이후 상황은 반전돼 8월 6353건, 9월 2984건, 10월 2287건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0월 매매의 경우 전월 대비 23.4% 하락했다. 올해 최다 거래건 수를 기록한 7월과 비교하면 무려 74.7%나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도 9월 1만3892건에서 10월 1만3282건으로 4.4% 줄었다.
서민들이 주로 거주하는 연립·다세대의 하락세는 더욱 확연하다. 매매와 임대차 거래 모두 9월 대비 두 자릿수 하락세를 보였다. 매매는 9월 2153건에서 10월 1682건으로 21.9%, 동기간 전월세 거래는 8626건에서 7510건으로 12.9% 내려앉았다.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지난 9월부터 시행된 강도 높은 가계부채 관리로 인한 대출 규제 여파가 연립·다세대 거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대출 규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 같은 매매·전세거래량 하락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 한파'에 9월 거래량 올해 최저치…아파트 거래 31% '뚝'(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부동산 시장의 거래가 꽁꽁 얼어붙으며 지난 9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이 올해 들어 가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재집권] 붉은물결 뒤덮인 美…트럼프 득표율, 10곳중 9곳서↑(종합)[트럼프 재집권] 붉은물결 뒤덮인 美…트럼프 득표율, 10곳중 9곳서↑(종합) - 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입주 지연에 부실시공 논란까지…춘천 고급주택 계약자들 '분통'(춘천=연합뉴스) 강태현 기자=강원지역 최고 분양가를 기록한 춘천시 한 고급 주택단지가 미진한 공정으로 인해 3개월째 입주가 지연되고 있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국인 국장 탈출 본격화하나”…3개월째 한국 주식 팔고 있는 외인들외인 전달에만 국내주식 5조 팔아 “반도체 기업 성장성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출 조이니 서울 집값 영향받나”…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줄어, 전셋값은?한국부동산원 주간 동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서울 서초 포함 수도권 4곳에 신규택지 조성…5만가구 공급(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서울 서초와 서울 주변 10㎞ 이내의 지역 4곳에서 689만㎡(208만평)의 신규 택지가 조성돼 주택 5만가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