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 소년’으로 불리며 열살 나이로 과학고에 입학한 백강현(11)군이 학교폭력 등을 이유로 자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재...
‘천재 소년’으로 불리며 열살 나이로 과학고에 입학한 백강현군이 학교폭력 등을 이유로 자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영재교육과 관련한 논란이 제기된다. ‘뛰어난 학생의 잠재력 계발’을 지향점으로 삼은 영재교육마저 경쟁적 입시 체계, 사교육을 통한 교육 불평등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을 보여준 단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교육청 등의 설명을 23일 들어보면, 백군 아버지는 지난 21일 유튜브 영상을 통해 백군의 자퇴 결심 배경에 언어폭력과 소외감, 학교의 지원 부족 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학교는 이번 학교폭력 사안을 중부교육지원청에 보고했다. 아직 학교는 백군의 자퇴 서류를 처리하지 않았다. 백군이 다닌 서울과학고는 영재학교로 과학고, 영재교육원, 영재학급과 함께 대표적인 영재교육 기관의 하나다. 국내 영재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학생은 지난해 기준 7만2천명이다. 백군은 지난 3월 만 10살 나이에 서울과학고에 입학했다.
실제 교육부 발표를 보면, 지난해 영재학교 졸업생 9.1%는 의약학계열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가 상위권 대학이나, 특정 선호학과 진학을 위한 수단으로 변질됐다는 지적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이들을 뒷받침하기 위해 영재교육 진흥법까지 만들어졌으나, ‘뛰어난 재능을 조기 발굴해 타고난 잠재력 계발 등을 통해 개인 자아실현을 도모하며 국가·사회 발전에 구실을 한다’는 입법 목적과는 거리가 있다. 정미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부소장은 “여전히 영재 교육기관 입학을 위해선 선행학습을 해주는 사교육에 의존해야 하고, 졸업 뒤에는 제재에도 의대에 입학하거나 다른 이공계열에 일단 입학한 뒤 다시 의대로 가는 경우도 많다”며 “영재학교마저 사교육과 의대 진학을 통해 학생을 계층화 하게 된 부분 또한 백군의 자퇴 논란을 계기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선발’과 ‘대입’에 정작 중요한 ‘교육’이 밀리며, 백군 아버지가 지적한 정서적 지원도 뒷순위로 밀린 모습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강사가 말했다 “늦어도 중2 때는 고교수학 마스터”···학원에서 무장한 영재들“어머님들,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가 영재학교 준비한다’는 원망 듣지 않으려면 중1 때 3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원 “중2 때 고1 과정 마쳐야”…영재 학부모들 끄덕끄덕“어머님들,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가 영재학교 준비한다’는 원망 듣지 않으려면 중1 때 3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교육 부채질하는 영재학교]‘의대 입학사관학교’ 오명···의대 지원 제재하자 영재학교 경쟁률 하락영재학교는 국가 차원에서 이공계 우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각종 혜택을 받는다. 다른 특목고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근 5년간 87명 이탈...영재학교 떠나는 영재들, 왜?최근 5년간 영재학교에 다니다 그만둔 학생이 87명에 달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근 5년간 87명 이탈...영재학교 떠나는 영재들, 왜?최근 5년간 영재학교에 다니다 그만둔 학생이 87명에 달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과고 자퇴 논란’ 열 살 천재소년, 24일부터 재등교하나서울과학고에 입학했다가 한 학기 만에 자퇴하겠다고 밝혀 그 배경에 이목이 집중된 백강현군(10)이 자퇴 의사를 철회하고 오는 24일부터 다시 등교할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채널A는 서울시교육청이 백강현 군이 전날 자퇴 의사를 철회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백군의 자퇴서가 서울과학고에 제출됐지만 학교 측에서 아직 자퇴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