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민간 외교이자 외화벌이 명목으로 해외 입양을 활용한 때가 있었다. 그때 떠난 한국계 입양인들이 자신들의 ‘진짜’ 이야기를 한다. 같은 입양인인 카오미 리 씨를 통해서다. 📝김다은 기자
카오미 리. 한국에서 태어난 그는 일본인 이름으로 불렸다. 생후 6개월인 그를 미국으로 데려온 양부모는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몰랐다. 친구들도, 이웃들도 그의 이름에서 이상함을 느끼지 못했다. 1970년, 카오미 씨는 미국 미네소타주 작은 시골 마을의 유일한 유색인종이었다. 카오미 씨가 양어머니에게 자신을 입양한 이유를 물었을 때, 그는 “개발도상국의 인구과잉이 전 지구적인 문제라고 생각해서 가난한 나라였던 한국의 아이를 입양했다”라고 답했다. 당시 한국에서 아이를 입양해오는 것은 너무 쉬운 일이었다. 한국에는 ‘대리 입양’ 제도가 있었다. 입양 부모가 아이의 출생국가에 오지 않고도 대리인을 통해 입양이 가능했다. 일명 ‘우편배달 입양’이라 불리는 제도였다. 한국은 이 제도를 통해 1980년대에는 몇 년에 걸쳐 출생 아동의 1% 이상을 해외에 입양 보내기도 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958년부터 2021년까지 해외 입양을 간 아동은 16만8322명이다.
그때 내가 40대였으니 태어나 40년 만에 처음으로 내 고향 나라의 명절 풍경을 알게 된 거였다. 추석이 되면 서울이 텅 비고, 사람들이 모두 가족과 고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햄과 식용유가 들어 있는 선물 상자를 들고 다닌다고 했다. 그때 내가 서울에 머물고 있었는데 평택까지 한 시간 조금 넘는 거리였다. ‘내 가족들은 너무나 가깝고도 먼 곳에 있구나’ ‘나는 그들을 알지 못하지만 지금쯤 한 손엔 선물 상자를 들고 다 같이 모여 식사를 하고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스쳤다. 아주 깊은 외로움과 슬픔이 느껴졌다.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아동 해외 입양은 정부와 무관하게 일어난 일이 아니다. 입양은 국가로부터 허가를 받은 입양 알선 기관에 의해서만 가능했다. 한국 정부는 우리를 해외로 보내고 나면 아마 우리가 사라질 거라고 생각한 것 같다. 하지만 우리는 없어지지 않았다. 해외 입양인들은 심지어 고아로 조작되기도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내년 성장률 1.5%? 진짜 어려울 것… 중소기업 위한 시장안전망 마련''내년 성장률 1.5%? 진짜 어려울 것… 중소기업 위한 시장안전망 마련' 경기도 화성시 김동연 맞손토크 박정훈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시체처럼 누워있는 남편, 경찰은 그냥 놔두지 않았다시체처럼 누워있는 남편, 경찰은 그냥 놔두지 않았다 평화박물관 FIGHTING_CHANCE 변상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패드 해킹범 잡은 경찰 'TV도 나온 전문가, 우리도 깜짝''지금 A씨가 게시한 글 자체가 해외 사이트에 게시가 됐었는데요. 그 해외 사이트를 비롯해서 다크웹 같은 사이트에는 국내외 자료를 불문하고 월패드가 해킹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들이 많이 올라와 있습니다.' 월패드해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늦둥이 막내 어디 갔니…아빠는 입관 전 자른 머리카락만 매만진다아버지는 매일 늦둥이 형주를 떠올립니다. “입관하기 전에 머리카락을 조금 잘라달라고 했어요. 아들은 없어도 그건 내가 가질 수 있으니까… 보고 싶을 때마다 우리 아들 머리카락을 만져봐요.” 이태원참사 🔽 이태원 희생자 이야기 ⑧서형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에 몇 안 되는 희소한 직업, 소개 좀 하겠습니다한국에 몇 안 되는 희소한 직업, 소개 좀 하겠습니다 만년필 제만년필좀살려주시겠습니까 김덕래 펜닥터 책이나왔습니다 김덕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