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2022년 8월 카셰어링 차량을 운행하던 중 시동이 걸리지 않고 차량 문이 열리지 않는 ...
‘그린카’ 등 카셰어링 차량 3대중 1대는 안전 관리 상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3∼6월 그린카, 쏘카, 투루카 등 3개 카셰어링 플랫폼 업체가 보유한 차량 22대씩 총 66대를 점검한 결과 24대의 안전 관리 상태가 불량했다고 5일 밝혔다. 카셰어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 단위로 차량을 대여하는 서비스를 말한다.또 번호판 등이 점등되지 않거나 파손된 차량이 6대, 블랙박스가 없거나 작동이 불량한 차량이 3대, 엔진 경고등이 점등된 차량이 2대, 와이퍼가 파손된 차량이 1대 등이었다.연평균 주행거리가 긴 차량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전체 사업용 자동차의 연평균 주행거리는 2만2959㎞이지만 조사대상 카셰어링 차량 66대 중 43대의 연평균 주행거리는 이 보다 길었다. 연평균 3만㎞를 초과해 운행한 차량도 20대에 달했다.그린카와 쏘카는 차량 운행 전과 달리 운행 후에는 외관 점검 사진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절차가 없었다.그린카와 쏘카는 차량 수리 시 예상 비용을 소비자가 요구하는 경우에만 통지했고 투루카는 운행 중 부상 등으로 직접 운전이 어려운 때에도 대리운전 이용을 금지했다.
자동차 대여 표준약관에 따르면 렌터카를 수리할 때는 사전에 예상 비용을 고객에게 통지해야 하고, 운전자는 음주 등으로 직접 운전이 어려울 때 대리운전 용역 제공자에게 운전을 맡길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피해유형은 수리비 등으로 인한 분쟁이 가장 많았고 계약해지 부당행위 관련 차량·시스템 결함 등 등이 뒤를 이었다.3개 업체 모두 자동차 운전면허증과 이용자 명의의 결제카드 정보를 앱에 등록해 최초 회원에 가입하고 나면 이후 이용계약을 체결할 때는 별도의 추가 인증 절차가 없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카셰어링 서비스는 운전습관이 다른 불특정 다수가 시공간 제약 없이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예약·이용하는 만큼 상시 점검을 철저히 하고 주행거리가 긴 차량에 대해서는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검사 사칭’ 보이스피싱으로 1억원 가로채…중국인 3명 검거경기 고양경찰서는 사회초년생 2명으로부터 1억원대 돈을 가로챈 중국 국적 30대 ㄱ씨 등 보이스피싱 조직원 3명에게 사기 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러 드론 32대, 이틀째 우크라 공격…곡물수송 시설 집중 파괴우크라, 32대 중 23대 격추 밝혀러-튀르키예 대통령 곡물협정 재협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버닝맨에서 런닝맨으로…‘진흙탕’ 축제 고립 7만여명, 대탈출 러시폭우로 행사장 전체가 진흙탕으로 변하면서 차량 통행이 금지되고 7만여명이 이틀간 고립됐던 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30 “휴대폰 성지찾다 호갱되기 싫어”…자급제폰 인기에 웃는 이곳아이폰·레이저 40 울트라 등 객단가 높아 매출 증대 효과 11번가·쿠팡·티몬 등 사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파트 ‘하자판정’ DL건설 899건…GS건설 678건최근 5년간 아파트 등 공동주택 하자 판정을 가장 많이 받은 업체 가운데 DL건설, GS건설 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실 시공’ 벌점이 덕지덕지인데…뭘 믿고 아파트 공사 맡겼는지허영 의원, LH 입찰 분석 ‘철근 누락’ 15곳 중 13곳 설계·감리·시공 벌점 이력 “LH, 안전불감증 심각 보여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