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월 초엔 실외 마스크 해제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하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제동을 걸었다.
지난 14일 서울 중구 명동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쓴 채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김유미 중앙방역대책본부 일반방역관리팀장은 21일 백브리핑에서 “다음주말께 검토한다”며 “향후 실외 마스크를 해제하더라도 실내에서는 고위험군을 보호하고 유증상자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당 기간 착용 권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날 방역당국이 “5월 초에 실외 마스크 계속 착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한 데 대해 인수위가 “실외 마스크 ‘프리 선언’은 보다 신중해야 한다”며 사실상 반대했지만, 일단 예정대로 검토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팀장은 “실외 마스크를 해제한다면 실외 간격 기준이 없어진다는 의미”라며 “간격이 좁아지면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침방울을 통한 감염 가능성이 커지겠지만, 실외이기 때문에 실내와 비교해서는 가능성이 덜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에선 이미 실외 마스크 착용이 의무가 아니다. 최근까지 의무로 규정했던 프랑스, 싱가포르, 뉴질랜드는 지난 2~4월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사그라들자 해제했다. 한국만 유독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고수하고 있지만 실제 야외 집단감염 사례는 거의 없다. 중앙방역대책본부가 꼽은 ‘300명 이상 대규모 집단 주요 발생 사례’ 26건을 보면 실외 사례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의 ‘8·15 서울 도심집회 관련 650명’이 유일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실외 마스크 해제 다음 주 발표...실내는 시기상조'거리두기 해제 때 ’실외 마스크’ 보류 '긴장감 약화 우려' / 방역 효과 크지만 마스크 착용만 강제하기도 어려워 / 5월 초 해제 여부 결정…'기존 방역 위험도 평가 기준 적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마스크 해제 여부는 정치 문제 아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우버도 마스크 의무 조치 해제…운전사 옆좌석 이용도 가능 | 연합뉴스(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미국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움직임에 차량 호출 서비스인 우버도 '합승'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