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칼퇴’를 한다고요?

MZ세대가 ‘칼퇴’를 한다고요? 뉴스

MZ세대가 ‘칼퇴’를 한다고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3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7%
  • Publisher: 51%

직장인 4명 중 1명이 정시 퇴근을 의미하는 ‘칼퇴’를 하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 추진위원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 추진위원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10일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칼퇴를 하지 못한다는 응답이 23.3%였다고 21일 밝혔다.칼퇴하지 못한다는 응답자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업무가 많아서’가 54.9%, ‘사무실이 정시에 퇴근하는 분위기가 아니어서’가 36.1% 등으로 나타났다. 50대, 남성, 정규직, 조합원, 300인 이상 사업장, 월 500만원 이상에서는 ‘업무가 많아서’가 높게 나왔다. 20대, 비정규직, 30인 미만 사업장, 월 150만원 미만에서는 ‘사무실이 정시에 퇴근하는 분위기가 아니어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갑질119는 “20대를 비롯해 일터의 약자들이 업무 때문이 아니라 눈치 때문에 퇴근을 못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칼퇴하지 못하고 일한 시간에 대해 추가근로수당을 받고 있는지를 물어본 결과 ‘그렇다’는 응답은 24.9%에 불과했다. 직장인 3명 중 2명은 ‘퇴근 후 연락’을 받았는데 20대와 50대 간 간극이 가장 컸다. 퇴근 후 연락 사유 절반은 시급한 문제 때문이 아니었다. 연락받은 경험이 있는 직장인의 27.4%는 밤 10시 이후에 연락을 받았다. 연락받은 경험이 있는 이들에게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물어본 결과 ‘다음날 출근해서 이행’이 66.6%로 가장 많았고, ‘업무시간 이후에 회사가 아닌 곳에서 이행’했다는 응답이 21.5%였다. 회사가 아닌 곳에서 업무를 한 경우 초과근무수당을 받았는지 물어본 결과 ‘아니다’는 응답이 71.0%였다. 업무시간 이후 업무 연락을 금지하는 법안에 대해 동의한다는 응답은 82.5%였다.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 박성우 추진위원장은 “늦게 퇴근하는 것은 엄연히 연장근로인데도 대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 정시출근이 당연하듯이 정시퇴근도 당연하게 여기는 사회적 인식의 정착이 절실하다”고 말했다.호주 노동자들이 퇴근 뒤 회사의 업무 연락에 응답하지 않을 권리를 누리게 됐다. 17일 호주 공정노동위원회 홈페이지를 보면, 호주에선 ...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영화 ‘도가니’를 보며 ‘덕성원의 나’를 떠올렸다”“영화 ‘도가니’를 보며 ‘덕성원의 나’를 떠올렸다”아동들을 불법으로 끌고 가 구타·감금·성폭력하는 등 각종 학대를 일삼은 부산 아동수용시설 덕성원 피해자 46명에 대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진실규명(피해 확인)을 결정했다. 덕성원은 형제복지원이나 영화숙·재생원에 견줘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오늘도 과감하게 시발~ 칼퇴~”…직장인 희망 담은 카드 긁을수록 스트레스 풀리네“오늘도 과감하게 시발~ 칼퇴~”…직장인 희망 담은 카드 긁을수록 스트레스 풀리네기쁨과 노여움, 슬픔과 즐거움 등 직장생활 중 겪을 수 있는 여러 상황이나 희망 등을 생활밀착형 카드 이름에 담아 카드사들이 출시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전날(4일) 우리카드는 직장인들의 퇴근 후 라이프스타일에 특화한 ‘카드의정석 칼퇴 체크(CHECK)’를 출시했다. 카드명 ‘카드의정석 칼퇴 체크’는 퇴근 후 다채로운 일상을 살아가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칼퇴' 혹은 '투잡' 무너진 공직사회'칼퇴' 혹은 '투잡' 무너진 공직사회직무의지 5점 만점에 3.1통계작성 이래 최저 기록기강 해이에 징계도 급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동칼럼]노벨 문학상 수상과 ‘K정치’[정동칼럼]노벨 문학상 수상과 ‘K정치’한강 작가는 를 출간한 후 기자회견에서 “를 쓰면서 저도 변형되었고, 그 소설을 쓰기 전으로는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 ‘새로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내 의사인력추계위 출범…위원 13명 중 7명 '의사 추천'(종합)연내 의사인력추계위 출범…위원 13명 중 7명 '의사 추천'(종합)(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적정 의료인력 규모를 분석하기 위해 정부가 연내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를 구성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상은 비록 삼성에 모질게 굴었어도 [노원명 칼럼]세상은 비록 삼성에 모질게 굴었어도 [노원명 칼럼]삼성의 소극 경영 8년에서 ‘학폭 트라우마’를 본다 정치·검찰은 가혹했지만 혼자 힘으로 일어설 밖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3 08:14:58